간웅부터 예술가까지 우리가 몰랐던 조조

간웅부터 예술가까지 우리가 몰랐던 조조

입력 2012-02-25 00:00
업데이트 2012-0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조의 진면목】 장윤철 편저 스타북스 펴냄

‘갑옷과 투구에는 이가 생기고 만백성은 목숨을 잃으니/백골은 사방에 흩어져 있고/천리 안에 닭 울음소리 사라졌구나/살아 남은 자 백에 하나는 될까/생각하면 애가 끊기는 듯하다’ 중국 삼국시대의 조조가 지은 ‘호리행’에 나오는 대목이다. 장기적인 군벌 싸움이 발생하면서 무고한 백성이 피해를 봤던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다. 조조는 이 구절에서 상황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는 한편 백성에 대한 깊은 동정심을 표출했다(본문165쪽).

흔히 조조는 난세의 간웅(奸雄)이라 하여 간신의 전형으로 여긴다. 하지만 근래 들어 중국 사학계에서는 조조를 재평가하는 일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다재다능한 예술가였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조조는 왕의 신분으로 문학을 적극 장려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창작에도 몰두해 문학의 새로운 장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신간 ‘조조의 진면목’(장윤철 편저, 스타북스 펴냄)은 제목 그대로 ‘조조의 새로운 면모’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우선 눈길을 끈다. 편저자는 서문에서 “조조의 풍부하고 다채로운 정치, 군사, 문학 활동을 서술하는 것과 동시에 그의 복잡하면서도 선명한 사상, 성격, 풍격, 가족, 일상생활에서도 알리고 싶었다.”면서 “1800년 가까이 이어져 온 조조에 대한 평가를 돌아보면서 예술 속의 이미지가 형성, 발전되는 것에 종지부를 찍고자 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렇듯 ‘조조의 진면목’은 간사함과 솔직함, 냉혹함과 관대함, 경박함과 현명함 등을 다루면서 인간 본성의 정수를 파악하고 삶을 살아가는 지혜를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저술됐다.

조조는 그가 행한 무수한 업적이나 백성을 위하는 마음에도 불구하고 간사한 인간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달리 말하면 조조가 그만큼 지략과 재능이 뛰어났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이 책은 강조한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2-02-25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