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 음식의 위험성 10년 임상 경험이 말하다

밀가루 음식의 위험성 10년 임상 경험이 말하다

입력 2012-02-18 00:00
업데이트 2012-02-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밀가루만 끊어도 100가지 병을 막을 수 있다】스티븐 왕겐 지음 끌레마 펴냄

만두, 칼국수, 스파게티, 고구마 피자. 빵, 케이크, 라면, 우동…. 밀가루로 만든 음식은 수없이 많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이 밀가루 음식을 즐겨왔다. 그런데 과연 몸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 건강 검진을 받을 때 의사들이 종종 그런다. 밀가루 음식을 멀리하라고. 왜? 세계 최고의 글루텐 질환 권위자인 스티븐 왕겐 박사가 쓴 ‘밀가루만 끊어도 100가지 병을 막을 수 있다’(박지훈 옮김·끌레마 펴냄)에서 답을 찾아보자.

이 책은 제목에서 시사하듯 밀가루의 위험성을 알리고 밀가루의 주성분인 글루텐 관련 질환을 다루고 있다. 글루텐은 밀, 보리, 호밀 등의 곡식에 함유된 단백질로 우리 몸에서 받아들이지 못하고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글루텐 불내증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책은 글루텐으로 인해 소장의 벽이 손상돼 소화 관련 장애를 일으키는 셀리악 병을 포함, 밀과 글루텐으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과 질환들을 모두 다루고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밀은 원래 사람이 먹던 음식이 아니며, 현재 우리가 밀을 재배하는 이유는 영양가치가 높아서가 아니라 수확량이 많아서 가장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많은 사람이 밀의 영양소(글루텐)를 제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유전 구조를 타고 나지 못해 각종 질병을 겪고 있다.”고 말한다. 밀이 오히려 수많은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이 책을 내기 위해 10년간 많은 환자들을 검사하고 치료하며 쌓은 임상 경험에서 나온 산물이라고 말한다.

글루텐을 먹으면 건강에 이상을 보이던 사람들이 밀과 글루텐을 일절 먹지 않으면 건강이 확연히 달라지는 것을 임상학적으로 관찰했던 것이다. 예를 들어 밀가루 음식을 가장 즐겨 먹는 미국인의 통계를 인용한다. 약 6000만명(20%)이 과민성 장염 증후군과 만성적인 소화장애에 시달린다. 1억 2000만명(40%)이 속쓰림에 시달린다. 3000만~6000만명(10~20%)이 중증 피로에 시달린다. 6100만명(20%)이 심혈관 질환을 앓는다. 이렇듯 심각한 소화 관련 장애부터 피부질환, 피로, 골다공증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환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소개하고 있다.

밀을 소화 흡수하지 못해 건강을 위협받고 있는 문제를 상세히 다루고 있는 것. 밀이 내 몸에 맞는지 아닌지에 대해 여러 가지 지식과 정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흥미롭다. 1만 5000원.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2-02-18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