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틀 벗어난 새로운 비판이론

유럽의 틀 벗어난 새로운 비판이론

입력 2012-02-11 00:00
업데이트 2012-02-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베스텐트 한국어판】 사회비판과 대안 편저/사월의책 펴냄

비판사회이론의 산실로 꼽히는 독일 프랑크푸르크대 사회연구소의 공식 기관지 베스텐트(WestEnd) 한국어판(연구모임 사회비판과 대안 편저, 사월의책 펴냄)이 나왔다.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는 흔히 프랑크푸르트학파로 불린다.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어 아도르노, 발터 베냐민 같은 1세대를 거쳐, 2세대 위르겐 하버마스, 3세대 악셀 호네트에 이르고 있다.

1세대가 근대성이 왜 잔혹한 광기로 돌변했는지 되묻는다면, 2세대는 근대의 기획을 무력화하려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맞서 서구의 ‘계몽’(Enlightment)은 서구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3세대는 세계의 중심축이 다변화되고 있는 세상에서 서구의 근대성이 어디에 머물 것인지 묻는 작업이다. 호네트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비판적 사회이론은 그 낡은 유럽적 뿌리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근대화를 적절하게 주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쟁점’ 파트에서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과 마르셀 에나프의 ‘진리의 가격 - 선물, 화폐, 철학’을 주된 논의 대상으로 삼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모스는 민속학적 연구를 통해 증여, 선물, 호혜성 문제를 다뤘다. 에나프는 이를 근대사회에까지 확장했다. 호네트는 ‘선물교환에서 사회적 인정으로’라는 논문에서 에나프에 대해 “선물교환이 사회통합을 위한 본질적이고 대체 불가능한 원천이라는 테제를 확립했다.”고 평가한다. 선물과 시장경제가 일직선상의 발전단계에 위치한 별개의 계단이 아니라 적당히 섞여 있다는 얘기다. 다양한 형태의 근대화에 대한 언급이다.

베스텐트 한국판은 1년에 두 번 출간된다. 번역논문뿐 아니라 한국 학자들의 논문도 함께 싣는다. 편집은 ‘연구모임 사회 비판과 대안’이, 책임편집자는 호네트 제자인 문성훈 서울여대 바롬교양대학 교수가 맡았다. 2만 50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2-11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