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 노동’ 한국사회 움직이는 새로운 명령어인가

‘열정 노동’ 한국사회 움직이는 새로운 명령어인가

입력 2011-04-23 00:00
업데이트 2011-04-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한윤형·최태섭·김정근 지음 웅진 지식하우스 펴냄

열정이란 무엇일까.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일에 열렬한 애정을 가지고 열중하는 마음과 자세를 말한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에서는 ‘열정’이라는 말에 익숙해졌다. 면접관은 구직자에게, 광고는 소비자에게 ‘당신은 과연 열정적으로 살고 있느냐.’고 물어본다. 나태함을 이기고 스스로 채찍질할 것을 요구한다. 입사 면접은 물론 ‘슈퍼스타K’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에서도 그렇다. ‘열정적으로 부딪치면 무엇이든 이루어낼 수 있다.’는 말은 이 시대의 대표적 논리로 통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하지만 성공의 길이 정말 그렇게 단순할까. 왜 갑자기 이런 종류의 논리가 강조되는 것일까.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한윤형·최태섭·김정근 지음, 웅진 지식하우스 펴냄)는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새로운 명령’이라는 부제를 달고 열정의 논리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고 있다. 사회비평가와 칼럼니스트, e스포츠 전문기자인 저자들은 두 가지 작업을 통해 현실과 이론을 동시에 들여다보고 있다. 각계각층의 여러 젊은이(프로게이머, 영화인, IT 개발자, 언론고시 준비생 등)들을 심층 인터뷰했고 동시에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를 이론적으로 분석했다. 21세기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새로운 명령(열정 노동)을 탐구하며 이 시대에 나타나는 여러 현상의 이면에 한국 자본주의의 일관된 ‘흐름’이 있음을 밝힌다.

저자들은 또 ‘열정 노동’의 논리가 한국에 도입된 배경으로 크게 두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외환위기(IMF)와 신자유주의 개혁이라는 1990년대 이후의 상황이다. 당시 정부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만이 신지식인이다.’, ‘영화 한편이 자동차 몇천대보다 낫다.’ 등의 논리를 펴며 산업 구조를 대폭 재편했고 동시에 고용의 안정성을 무너뜨렸다. 이 과정에서 빈자리를 채우려는 수단의 일환으로 ‘열정을 가지고 스스로 경영하라.’는 식의 탈노동자화가 장려됐다는 것이다.

둘째, 세계 자본주의의 흐름이 ‘열정 노동’을 발명했다고 말한다. 생산력 향상의 동력을 ‘새로운 자원’이나 ‘새로운 시장’에서 더 이상 찾을 수 없게 된 자본주의는 노동자들에게 ‘스스로 혁신하여 생산력을 높일 것’을 강요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한국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 급속도로 ‘열정 노동’의 논리가 성행하게 됐다고 흥미롭게 분석한다. 1만 3500원.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04-23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