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 음악 속으로

바로크 음악 속으로

입력 2013-08-26 00:00
업데이트 2013-08-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코렐리 서거 300주년 공연…헬무트 릴링도 4년 만에 내한

주요 클래식 공연이 본격적으로 쏟아지는 가을의 문턱, 고음악 고수들이 이끄는 ‘바로크로의 음악 여행’이 잇따라 펼쳐진다. 바로크 음악은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중반 사이의 유럽 음악 양식으로 바흐, 헨델, 비발디가 대표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영감을 주며 바로크 음악의 중흥기를 이끈 작곡가는 ‘단순하다’ ‘뻔하다’고 저평가됐던 아르칸젤로 코렐리(1653~1713)였다.



국내에서 듣기 힘든 바로크 레퍼토리를 꾸준히 소개해 온 무지카글로리피카가 올해 주목한 주인공이다. 무지카글로리피카는 코렐리와 그를 사랑한 후대 작곡가들의 곡을 통해 관객을 17세기 말 로마로 이끈다. 다음 달 3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열리는 코렐리 서거 300주년 기념 음악회 ‘코렐리 찬가’에서다.

‘영광을 돌리는 음악’이라는 뜻의 무지카글로리피카는 바로크 바이올리니스트 김진이 2002년 창단한 국내 최초 고음악 연주 단체다. 바로크 바이올리니스트 김윤경과 하프시코드(쳄발로) 연주자 벵자맹 알라르, 테오르보 연주자 헤지나 아우바네즈가 앙상블을 이룬다. 3만~5만원. (02)392-0088.

‘바흐의 메신저’ 헬무트 릴링은 4년 만에 내한 무대를 갖는다. 다음 달 6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8일 충남 천안 예술의전당 대공연장에서 열리는 ‘한화 클래식’ 콘서트다. 올해 여든인 릴링은 평생을 바흐 연구에 헌신해 온 것으로 유명하다. 1981년 국제바흐아카데미를 설립한 이후 1985년 바흐의 칸타타 전곡을 최초로 녹음하고 2000년 바흐의 교회음악 전곡을 녹음했다. 1965년 그가 창단한 바로크음악 연주 단체 ‘바흐 콜레기움 슈투트가르트’도 함께 내한해 깊이가 더해진 연주를 들려준다. 소프라노 미렐라 하겐, 메조 소프라노 김선정, 테너 조성환, 바리톤 정록기 등이 함께 무대에 오른다. 5만~10만원. (02)729-5369.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08-26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