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미술관 서울 한복판 점령하다

지방 미술관 서울 한복판 점령하다

입력 2014-06-23 00:00
업데이트 2014-06-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구미술관 ‘장샤오강’展 흥행몰이… 협업·해외전시 등 지역 곳곳 변화중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중국 현대미술의 사대천왕으로 꼽히는 ‘장샤오강’의 전시를 알리는 수십 장의 현수막이 대로변 가로등을 점령하고 있었다. 그런데 전시 장소는 서울관이 아닌 대구미술관. 올 9월까지 장샤오강의 생애를 반추하는 이 대규모 회고전의 현수막들은 어느새 한국 현대미술의 심장부 격인 소격동 앞길을 버젓이 차지하고 있었다.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앞에 내걸린 대구미술관의 전시 현수막. 지방 미술계의 흥행 몰이를 이끄는 이 미술관의 전시를 놓고 “지방 미술계의 반란”이라는 긍정론과 “해외 유명 작가의 이름값에 의지한 임기응변”이라는 찬반론이 엇갈린다.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앞에 내걸린 대구미술관의 전시 현수막. 지방 미술계의 흥행 몰이를 이끄는 이 미술관의 전시를 놓고 “지방 미술계의 반란”이라는 긍정론과 “해외 유명 작가의 이름값에 의지한 임기응변”이라는 찬반론이 엇갈린다.
지난해 ‘쿠사마 야요이’전으로 33만명의 관람객을 끌어 모은 대구미술관이 다시 한번 지방 미술계에서 흥행몰이 시동을 걸었다. 지난해 7월부터 약 3개월간 열린 쿠사마 야요이전에 이어 지방에서 열리는 아시아 유명 작가의 전시다.

일단 출발은 청신호를 켰다. 개막 첫날인 지난 14일 777명의 관람객이 다녀가 지난해 쿠사마 야요이전의 739명을 넘어선 상태다.

앞서 ‘대박’을 터뜨린 쿠사마 야요이전은 2011년 개관 이후 2년여간 대구미술관을 찾은 관람객보다 5배나 많은 사람들을 단박에 끌어모았다. 이 중 유료 입장객은 25만명, 흥행 수입만 10억원이 넘었다. 전시를 보고 온 관람객의 입소문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이 같은 지방 미술관의 바람은 지난해 특히 거셌다. 지난해 3~7월 ‘나의 샤갈, 당신의 피카소’전을 연 제주도립미술관은 7만명, 같은 주제로 전시를 이어 간 전북도립미술관은 15만명이 넘는 관람객을 모았다.

올해에도 지방미술관들의 변화 움직임은 끊이지 않는다. 시·도립 미술관을 벗어나 경기 광주시 영은미술관 등 중소규모 개인 미술관까지 협업을 통해 지역 미술관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겠다고 나선 상태다. 8월 31일까지 이어지는 ‘협업의 묘미’전에는 경기 안산시 경기도미술관, 서울 가양동 겸재정선미술관, 광주광역시 의재미술관, 강원 양양군 일현미술관 등 다른 4곳의 미술관이 동참했다. 매년 160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는 일본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도 손을 잡았다.

2004년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에 개관한 이 미술관은 미확인비행물체(UFO) 모양의 외관과 다양한 콘텐츠로 지역 미술계의 명소로 떠오르면서 지방 미술관들이 첫손가락에 꼽는 벤치마킹 대상이 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지방 미술관들은 여전히 연계 교통편조차 갖추지 못한 경우가 부지기수다. 미흡한 작품 컬렉션에 낮은 인지도는 극복해야 할 장애다. 대구미술관의 전시도 쿠사마 야요이, 장샤오강 등 세계적 작가들의 유명세에 의지한 임기응변이란 비판에 직면해 있다.

정준모 미술평론가는 “대구미술관의 경우 민간이 지은 시설을 공공기관이 임대해 쓰는 BTL 방식으로 개관해 대중기호에 영합하는 (수익을 올리기 위한) 전시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취약한 구조”라며 “사설 갤러리와 구분되는 미술관만의 역할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글 사진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6-23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