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와 천재의 만남… 경계 지운 음악 여름 적시다

대가와 천재의 만남… 경계 지운 음악 여름 적시다

입력 2014-06-11 00:00
업데이트 2014-06-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4일 ‘여우락’ 페스티벌 시작

매년 초여름 남산 자락을 우리 음악으로 달군 ‘여기 우리 음악(樂)이 있다’(여우락) 페스티벌이 다음 달 4일 시작된다. 올해 5회를 맞는 여우락은 ‘콜라보레이션’(협업)을 큰 틀거리로 잡았다.

이미지 확대
올해 여우락 페스티벌에는 그야말로 ‘난다 긴다 하는’ 음악가들이,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모여 음악의 결합을 시도한다. 알토색소폰의 거장 강태환은 “지금껏 해온 음악색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싶다”면서 즉흥음악의 대가답게 “연주 계획은 당일 열어봐야 안다”고 전했다.  국립극장 제공
올해 여우락 페스티벌에는 그야말로 ‘난다 긴다 하는’ 음악가들이,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모여 음악의 결합을 시도한다. 알토색소폰의 거장 강태환은 “지금껏 해온 음악색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싶다”면서 즉흥음악의 대가답게 “연주 계획은 당일 열어봐야 안다”고 전했다.
국립극장 제공
이미지 확대
올해 여우락 페스티벌에는 그야말로 ‘난다 긴다 하는’ 음악가들이,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모여 음악의 결합을 시도한다. ‘꿈의 아리랑’을 펼칠 고구려밴드와 기타리스트 최희선.  국립극장 제공
올해 여우락 페스티벌에는 그야말로 ‘난다 긴다 하는’ 음악가들이,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모여 음악의 결합을 시도한다. ‘꿈의 아리랑’을 펼칠 고구려밴드와 기타리스트 최희선.
국립극장 제공
이미지 확대
올해 여우락 페스티벌에는 그야말로 ‘난다 긴다 하는’ 음악가들이,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모여 음악의 결합을 시도한다. 10일 서울 국립극장에서 열린 여우락 페스티벌 간담회에 함께한 장재효 음악감독(왼쪽부터), 안호상 국립극장장, 양방언 예술감독. 국립극장 제공
올해 여우락 페스티벌에는 그야말로 ‘난다 긴다 하는’ 음악가들이,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모여 음악의 결합을 시도한다. 10일 서울 국립극장에서 열린 여우락 페스티벌 간담회에 함께한 장재효 음악감독(왼쪽부터), 안호상 국립극장장, 양방언 예술감독.
국립극장 제공
2012년부터 3년째 예술감독을 맡고 있는 양방언은 10일 “우리 음악을 하는 아티스트들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자 노력했고, 훌륭한 뮤지션들이 이 자리에서 많은 실험을 해주면서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면서 “개인적으로는 우리 음악에서 생각하지 못했던 색다른 색깔을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올해는 그것을 한 단계 더 높여 선보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했다”고 소개했다.

양 예술감독이 말하는 ‘업그레이드’에 대해 장재효 음악감독은 “새로이 창작한 곡들을 선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4회 여우락을 진행하면서 관객들이 우리 음악에 대해 얼마나 목말라했는지 느끼고 나 자신도 큰 공부를 했다”는 그는 “장르의 경계를 깬다는 여우락의 특징을 가지고 가되 한 공연을 하는 팀들이 더 깊이 있게 화학적 결합까지 이끌어낼 수 있도록 충분히 협업한 결과물도 함께 보여줄 수 있는 시간으로 만들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여우락은 오프닝(4~5일)·크로스오버(7~13일)·센세이션(15~20일)·초이스(22~26일)로 구성했다. 이 4개 테마 속에 10개(20회) 공연, 여우톡(Talk) 2회, 여우락 스쿨 6번, 대학생워크숍(4박 5일) 등이 짜임새 있게 들어가 있다.

노름마치, 소나기프로젝트, 억스, 일본·미국 출신 연주자들이 오프닝 ‘여우락판타지’를 장식하면서 여우락 축제를 시작한다.

크로스오버 기간에는 여우락의 특징이 잘 녹아든다. ‘전통과 적용’에서는 DJ소울스케이프·세컨세션·윤석철이 한국 음악의 발전 양상을 전하고, ‘달에 사는 고래’에는 퓨전 연주팀 두 번째 달과 월드뮤직 그룹 고래야가 만난다. ‘잡음(雜音)의 미학’에서는 재주 연주단 서영도 일렉트릭 앙상블과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악기별 대표주자들이 협연한다. 서영도는 “우리 악기와 재즈가 만들어낼 부조화 속의 조화를 고민했다. 아마도 현장에서는 리허설 때 나오지 않았던 음악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면서 기대감을 높였다.

‘제비·여름·민요’ ‘꿈의 아리랑’ ‘마지막 마스터’ 등으로 꾸민 센세이션은 기대를 뛰어넘는 예술가들이 뭉친다. 즉흥적으로 감성을 표현하는 프리뮤직의 대가 강태환(알토색소폰)과 강권순(정가)·박우재(거문고)가 협연하고,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작곡 활동을 펼친 장영규와 이태원이 남도·경서 등 소리꾼들과 한 무대에 오른다. 조용필 밴드의 리더 최희선과 고구려밴드가, 소리꾼 한승석과 밴드 긱스의 멤버 정재일이 화끈한 조화를 꾀한다.

초이스에서는 해외 음악가들이 대거 등장한다. 한국의 해금, 일본의 고토, 콘트라베이스 등 동서양 현악기가 어우러지는 ‘彈(탄), 세월을 타다’에 이어 올해 여우락에 참여한 모든 아티스트가 한자리에 모이는 ‘여우락 올스타즈’로 대미를 장식한다. 연주자들의 토크콘서트인 ‘여우톡’(10·22일), 우리 악기와 세계 민속 악기를 들어볼 수 있는 ‘여우락스쿨’(13·26일)도 준비했다.

안호상 국립극장장은 “지난해 여우락은 유료객석 점유율 100%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세우면서 우리 음악이 현재의 음악으로서 관객과 소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올해도 많은 관객들이 아티스트들과 어우러져 우리 음악이 미래로 향하는 길에 함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연은 전석 3만원, 여우톡은 1만원. (02)2280-4114~6.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4-06-11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