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리뷰] 연극 ‘줄리어스 시저’ 시저가 돌아왔다… 조금 밋밋하게

[공연리뷰] 연극 ‘줄리어스 시저’ 시저가 돌아왔다… 조금 밋밋하게

입력 2014-05-30 00:00
업데이트 2014-05-30 0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사여구 없이 본론으로 들어간다. 무대도 간결하다. 3면을 철망으로 둘렀고 소품은 칼 몇 자루 정도다. 무대 장치에 시선을 빼앗길 일이 없다. 인물들의 갈등과 심리변화에 집중하기에 딱이다.

이미지 확대
명동예술극장 제공
명동예술극장 제공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 중인 연극 ‘줄리어스 시저’(연출 김광보)는 극의 주제에 집중했다. 권력과 명예욕, 그 뒤에 숨은 졸렬함, 이성을 가뿐히 뒤집는 광기, 죽음에 대한 공포가 어우러진 ‘암울한 현실’이다.

연극으로만 보자면, 일단 고맙다. 쉽지 않은 작품을 올린 데 대한 감사다. 줄리어스 시저는 공화정의 종말과 로마 제국의 시작을 알린 인물이다. 로마 황제로 추대되던 시저가 브루투스의 칼 끝에 죽으면서 “브루투스, 너마저”(Et Tu, Brutus-라틴어)라고 했다는 역사의 한 장면은 모두에게 익숙하다.

시저를 죽인 브루투스가 “시저를 덜 사랑한 것이 아니라 로마를 더 사랑했기 때문”이라는 말로 배신에 불탄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얘기로도 잘 알려져 있다.

‘줄리어스 시저’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37편 중 국내에서 가장 먼저 공연(1925년)된 작품이지만 무대에서 만나는 것은 드물었다. 굵직한 공연은 1954년(이해랑 연출), 2002년(정일성 연출) 정도로 손에 꼽힌다. 로마의 맹위, 대규모 전투 장면 등을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 면에서 이번 공연은 흔치 않은 시간임이 분명하다. 시저와 브루투스의 내적 갈등을 부추기는 각자의 부인을 빼고, 출연 배우를 남성 16명으로 압축해 방대한 정치극을 그대로 담았다. 철망으로 두른 무대에서 치열한 정치판이나 격투장이 매한가지라는 의미가 와닿고, 시저와 브루투스 이외에 안토니와 카시어스 같은 인물의 성격도 충분히 전달된다.

하지만, 다소 아쉽다. 이질감 측면에서다. 단언하건대 송종학(시저), 윤상화(브루투스), 박호산(안토니), 박완규(카시어스)는 연기력을 논할 필요가 없는 배우들이다. 그런데 이번만큼은 윤상화가 조금 밋밋하다. 윤상화는 억양에 큰 변화를 두지 않았다. 카시어스의 부추김에 마음을 움직이고, 죽음을 선택하면서도 제 손으로 죽지 못하는 브루투스를 “우유부단의 아이콘”으로 해석한 결과다. 그의 판단에는 공감하지만, 무대에서 무료해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다. 극 후반 전쟁 장면에서 불쑥 튀어나오는 유머 코드도 전체 흐름에서는 생뚱맞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봐야 하는 이유를 꼽으라면, 우리 현대사를 연상시키는 작품을 해석하는 재미와 ‘보기 드문 작품’이라는 점이다. 6월 15일까지. 2만~5만원. 1644-2003.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4-05-30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