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박사학위 취득하는 성예람 작곡가
성예람 작곡가.
성씨는 성악과 피아노를 전공한 부모님 덕에 늘 음악을 좋아하며 자랐지만 뒤늦게 음악에 꿈을 품었다. 대학을 앞두고서야 그동안 익숙한 서양음악 작곡 공부를 준비했다가 입시전형이 비슷해 도전한 한 대학 국악과에 덜컥 합격했다. 한 학기를 다니며 처음 접한 민요와 판소리, 가야금, 설장구 등으로 국악의 맛에 빠진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으로 학부를 옮겨 국악작곡의 길을 닦았다.
25일 만난 그는 “어릴 때부터 시작한 동기들에 비해 너무 늦었기 때문에 그저 더 많이, 열심히 공부하고 따라갔다”고 학창 시절을 설명했다. 교수님들 뿐 아니라 함께 수업을 듣는 동기들도 그에겐 선생님이나 다름 없었고, 수업시간 외에 보고 듣는 모든 경험들이 공부가 됐다. 늘 부족하단 생각을 가진 그에게 박사과정은 당연한 수순이었지만 고민도 컸다. “현대음악을 좋아하면서도 국악이 많은 사랑을 받기를 바라는 나는 어떤 음악을 해야 하는지 정체성 고민도 많았다”고 했다. 국악작곡으로 박사과정을 하는 학도들이 드물다는 것도 고민 중 하나였다. 성악과 기악 등 다른 장르의 ‘박사’ 국악인들은 많지만 국악작곡은 학부 전공자도 많지 않았고, 학부에서 공부를 했더라도 음악이론이나 지휘 등으로 석·박사를 받거나 해외 유학을 떠나 작곡을 공부하고 오는 경우가 많았다.
성씨는 오히려 고민과 호기심을 활용해 모든 음악에 눈과 귀, 마음을 활짝 열기로 했다. 학교에선 국악작곡(김승근 교수), 음악이론(오희숙 교수) 등을 깊이 공부하면서 뮤지컬 반주, 영화 삽입곡 작곡, 무대 음악감독 등 여러 경험도 차곡차곡 쌓았다.
그의 관심은 장르를 넘나든다. 임준희 한예종 교수의 국악칸타타 ‘어부사시사’를 두고 시문학과 음악, 국악과 서양음악의 융복합을 정리한 석사 논문을 썼다. 박사과정을 둔 서울대에 진학해 박사 논문으로 미국에서 활약하는 중국 작곡가 브라이트 솅의 오페라 ‘홍루몽’을 통해 문화예술의 다양한 융복합 양상들을 풀어냈다. 최근에는 전자음악에도 흥미를 느낀다.
성씨는 “한계를 구분 짓지 않고 가치 있는 생각을 담은 곡을 쓰고 싶다”고 했다. 특히 오페라 ‘진시황’을 작곡한 탄둔이나 브라이트 솅을 언급하며 “중국 고유 음악을 세계에 알린 이들에게 영감을 받는다”며 “예술성이 뛰어난 한국음악의 아름다움도 제대로 알리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성씨는 그러면서도 “국악, 정말 어려워요”라면서 “아마 평생 공부하게 될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