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직후 생활상 담긴 男혼례복, 독일서 돌아왔다

6·25 직후 생활상 담긴 男혼례복, 독일서 돌아왔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3-05 22:14
업데이트 2020-03-06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일 수사가 수집했던 희귀 단령 귀환

이미지 확대
1960년대 남성 혼례복 단령 앞면. 문화재청 제공
1960년대 남성 혼례복 단령 앞면. 문화재청 제공
독일에서 한국으로 파견된 가톨릭 수사가 수집한 60년 전 한국 남성 혼례복이 국내로 돌아왔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독일 상트오틸리엔수도원 선교박물관이 소장한 혼례용 단령(團領)을 최근 기증받아 국립민속박물관에 인계했다고 5일 밝혔다. 1960년 전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단령은 1959년 경북 칠곡 왜관수도원에 파견된 보나벤투라 슈스터(한국명 주광남) 수사가 모았다. 1984년 독일로 복귀할 때 단령을 가져가 1987년 선교박물관에 기증했다. 슈스터 수사는 1990년 왜관수도원으로 돌아와 수도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단령은 겉감은 비단, 안감은 1960년대 유행한 인조비단(비스코스레이온)으로 제작됐다. 관복용이 아닌 6·25전쟁 이후 민간에서 사용했던 단령이다. 어려운 경제 사정을 겪으면서 개량화된 복식으로, 현재 남아 있는 것이 많지 않아 당시 시대 상황을 알려 줄 수 있는 희귀 자료로 평가된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16년 상트오틸리엔수도원 선교박물관 실태조사에서 단령 두 점을 확인하고, 2018년 국내로 들여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년간 보존 처리를 진행했다. 선교박물관장은 지난해 12월 이 중 한 점을 연구 자료로 한국에 기증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독일로 돌아가는 단령은 1909년 수도원의 도미니쿠스 엔스호프(1868∼1939) 신부가 수집한 것이다. 수도원장을 지낸 노르베르트 베버(1870∼1956)가 1925년 조선에 파견됐을 때 만든 무성기록영화 ‘한국의 결혼식’에 신랑의 복식 실물로 나왔다.

선교박물관은 2018년엔 조선시대 보군이 입었던 ‘면피갑’을 기증하기도 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3-06 2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