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두도 화석은 백악기 공룡 유골”

“부산 두도 화석은 백악기 공룡 유골”

입력 2014-03-07 00:00
업데이트 2014-03-07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항묵·설리번 박사 연구 확인…‘중생대 공룡의 낙원설’ 뒷받침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은 2010년 1월 부산 사하구 감천항 입구의 두도(頭島·면적 1만 6000여㎡·해발 57m) 비탈사면 해안에서 출토한 화석 중 일부가 8000만년 전 백악기시대 공룡 유골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6일 밝혔다.

부산해항청은 두도에서 출토한 유골을 김항묵 부산대 명예교수와 세계적 공룡 연구가인 코인 설리번 박사에게 의뢰해 공동 연구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백악기시대 초식공룡인 오로라세라톱스 또는 아채세라톱스의 골격 구조와 동일한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오로라세라톱스는 뿔을 가진 초식공룡으로 길고 좁은 주둥이가 특징이다.

아채세라톱스는 백악기 북미와 아시아에서 번성한 앵무새 같은 부리를 가진 초식공룡이다. 비교적 큰 머리와 약 1미터 길이의 두 발을 갖추고 있으며 먹이는 양치류·소철류와 침엽수의 잎을 날카로운 입으로 잘게 부숴 먹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경상도 50여개 지역을 중심으로 공룡 발자국 화석이 다량 발견돼 ‘한반도가 중생대 백악기 시대 공룡의 낙원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번에 발견된 척추동물의 화석은 중국에서도 사례가 희귀하며 익룡을 비롯한 기타 척추동물의 화석 발견 가능성과 관련 연구 잠재력이 높아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해항청은 김 명예교수와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를 문화재청에 보고하고 세계적인 공룡 연구가와 추가적인 협업 연구를 진행해 최종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부산해항청은 2010년 1월 부산 두도 비탈면 해안선 곳곳에서 공룡 알 화석, 발자국 화석, 뼈 화석, 배설물 화석 등 당시 공룡의 생활 모습을 짐작할 수 있는 다양한 화석과 고사리류인 양치식물 풀 화석과 겉씨식물의 나무둥치 화석 등을 무더기로 발견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4-03-07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