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리뷰] 日 노자와 소설 극화 ‘연애시대’

[연극리뷰] 日 노자와 소설 극화 ‘연애시대’

입력 2011-10-17 00:00
수정 2011-10-17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혼 뒤 겉돌다가 서로의 사랑 재발견

간간이 웃긴데, 이상하게 가슴이 먹먹하고 눈물이 난다. 연극 ‘연애시대’를 보는 내내 그랬다.

연인과 헤어진 뒤에야 비로소 그를, 혹은 그녀를 진정 사랑하고 있다고 느낀 적 있는가. 아니면 사랑하는 사람이 앞에 있지만 용기가 없어서, 혹은 두려워서 자꾸 마음과 달리 엇나간 행동을 일삼아 봤는가. 그렇다면, ‘연애시대’를 강력 추천한다. 극을 보는 내내 작품 안에 자신을 대입시켜 스스로를 반추해 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연극 ‘연애시대’에서 여 주인공 하루(박시은·오른쪽)가 전 남편 리이치로(김영필·왼쪽)의 결혼식에 참석, 슬픈 감정을 억누르며 축사와 축가를 부르는 장면.  쇼플레이 제공
연극 ‘연애시대’에서 여 주인공 하루(박시은·오른쪽)가 전 남편 리이치로(김영필·왼쪽)의 결혼식에 참석, 슬픈 감정을 억누르며 축사와 축가를 부르는 장면.
쇼플레이 제공
‘연애시대’는 일본 작가 노자와 히사시(1960~2004)의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2006년 SBS에서 손예진·감우성 주연의 드라마로 만들어져 인기를 끌기도 했다.

연애시대의 두 주인공, 하루와 리이치로는 사산이라는 아픔을 겪었다. 아이가 죽은 날, 남편 리이치로는 아내 하루에게 ‘회사에 일이 있어 나간다.’는 말을 하고 그녀 곁을 지키지 않았다. 하루는 남편이 자신을 내버려둔 채 도망갔다고 생각해 이혼을 선언한다.

사실 그날 밤 리이치로는 회사가 아닌 죽은 아이 곁을 내내 지켰다. 하지만 하루가 마음 아파할까봐 사실대로 말하지 못했다. 이혼도 아내가 원하는 대로 해주고 싶다는 마음에 승낙했다. 이혼했지만, 이들은 아직도 서로의 곁을 맴돈다. 사랑하지만 ‘이혼’이란 현실 속에 숨어 솔직한 감정을 서로 숨긴다.

티격태격 싸우고 서로에게 소개팅을 시켜주며 그렇게 점점 마음의 가면을 쓴다. 그러다 리이치로가 첫사랑과 재회해 재혼한다. 하루는 전 남편의 결혼식에서 축사를 맡게 된다. 일반인의 상식에선 이해되지 않지만, 하루는 전 남편을 정말로 사랑하기에, 자신이 채워주지 못한 상대의 행복을 위해 용기를 낸다. 하루가 리이치로의 재혼식이자 자신과의 결별식 식장에서 축사와 노래를 이어갈 때 객석과 무대는 눈물바다를 이룬다. 극의 절정이다.

평소 하루는 리이치로를 ‘내 호적을 더럽힌 남자’라고 말하지만, 누구보다 그의 행복을 바란다. 하지만 막상 그가 자신이 아닌 다른 누군가의 곁에서 행복한 표정을 짓는 모습을 보며 속으로 운다. 부부로 살 때 서로 다른 생활방식에 분노하고 싸웠지만 ‘부부는 한방의 공기를 나눠서 마시는 거라고. 조금은 숨이 막히는 게 당연하지.’라는 속 깊은 대사를 훗날 되뇔 만큼 그녀는 그를 그리워한다. 리이치로도 마찬가지다. 밥 못하고 살림 못하는 하루와 달리 요리 전문가인 두 번째 아내 도미코를 볼 때마다 되레 하루가 그립다.

하루와 리이치로, 친구들이 마련한 기차 여행길에 서로의 마음을 용기 내 확인한다. 몇 년 동안 진심을 속인 대가로 겉돌기만 한 두 남녀는 비로소 다시 재결합한다.

‘사람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게 뭔 줄 아세요? 그건 연애예요.’, ‘우린 그동안 너무 강한 남녀라 서로의 상처를 핥아주지 못했어.’ 등 극 중 명대사는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군 제대 후 복귀작으로 ‘연애시대’를 선택한 배우 김다현과 주인영의 연기는 명품이다. 첫 연극 도전에 나선 주연 배우(더블 캐스팅) 박시은과 김영필을 비롯해 조연 배우들의 재치 만점 연기도 극의 재미를 더한다. 11월 20일까지 서울 대학로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전석 4만원. (02)766-3390.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10-17 2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