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문학평론집 낸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요즘 평론가들은 글을 너무 어렵게 씁니다. 비평가의 권위는 전문적인 식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독자의 한 사람’이라는 입장에서 나오는 것이지요.”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가 25일 기자간담회장에서 “문학의 힘은 문학을 사랑하는 그 자체에서 나온다.”면서 “평론가의 힘 또한 유력한 독자로서 문학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된다.”고 문학평론가가 갖춰야 할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민주화 운동과 통일운동 등 활발한 활동 속에서도 여전히 문학평론가의 자리에 있었다는 백 명예교수의 메타 비평(비평에 대한 비평) 이야기는 이어졌다. 그는 “남들과 색다른 얘기를 해야만 하고, 자기만 아는 얘기를 작가에게 일깨워 줘야 한다는 식의 우월의식으로 인해 빚어진 결과”라면서 “독자들끼리 나누는 얘기와 같은 평론에 오히려 작가들이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독자들을 배제하는, 독자끼리 이뤄져야 할 소통을 차단하는 현학적 문학평론에 대한 비판이다.
또한 상업적 이해관계에 의해 맞춤 제작되는 주례사식 비평에 대한 비판과 자성도 이어졌다. 백 명예교수는 “주례사식 비평이 요즘 더 심해진 것 같다.”면서 “특히 전에는 개인적 관계에 의해 이뤄지던 것이 요즘에는 출판사와의 이해관계에 따라 이뤄진다.”고 지적했다. 그 자신 또한 그러한 비판의 지점에서 자유롭기는 어렵다. 출판사 창비이건, 계간지 창작과비평이건 ‘백낙청’을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는 탓이다. 그 상징성은 여전히 거대하다.
“계간지는 발행인으로 있지만, 단행본 출판사와는 전혀 관계하지 않습니다. 다만 우리쪽 작가라고 해서 내놓고 띄워 주지는 않더라도 앞장서서 비판하지도 않은 부분은 있죠. 저도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소설가 신경숙의 예도 들었다. 그는 “1980년대에는 신경숙을 몰랐고 나중에서야 거슬러서 모두 읽었는데 그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는 평론가들이 한편에서는 터무니없이 깎아내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띄우기 일변도였듯 제대로 된 비평적 논의가 부족했다.”면서 상업적 이해에 휘둘리지 않고 잘난 체하지 않으며 엄정한 독자의 눈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말마따나 ‘즐겨 자처하는’ 문학평론가의 모습이다.
그는 이날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관련 평론들을 묶어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일’(창비 펴냄)도 새로 내놓았다. 또한 1978년 내놓은 백낙청 문학론의 원류라고 할 수 있는 ‘민족문학과 세계문학1’,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의 개정 합본판을 내놓았다. ‘문학이 무엇인지’ 또한 ‘민족문학과 세계문학’의 다섯 번째를 부제로 달아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확인시켰다.
백 명예교수는 “시대가 변하고 사회의 과제가 많이 변했지만 1970년대 민족문학을 얘기했던 문제의식 자체는 변하지 않았다고 판단해 글을 거의 수정하지 않고 내놓았다.”고 말했다.
글 사진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5-26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