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황당한 외계인 : 폴’

[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황당한 외계인 : 폴’

입력 2011-04-05 00:00
업데이트 2011-04-0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용두사미 B급 패러디

‘홀쭉이와 뚱뚱이’ 혹은 이와 비슷한 남자 듀오는 코미디 영화의 오랜 주인공으로 행세해 왔다. 한국은 물론 외국에도 그런 커플 하나쯤은 언제나 있었다. 다소 정형화된 남자 코미디 듀오에 변화를 몰고 온 작품은 ‘블루스 브러더스’가 아닐까 싶다. 이전에도 비슷한 영화가 없진 않았겠으나, ‘블루스 브러더스’의 파급력에는 미치지 못했다. 정상에서 벗어난 두 남자가 이곳저곳을 떠돌며 황당한 일을 벌이고, 관객과 인물, 현실을 싸잡아 희화화하는 영화는 1990년을 전후해 하나의 트렌드를 형성했다.

슬슬 정도가 심해져 머저리로 변한 남자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작품들은 너무 많아서 수를 헤아리기 어려운 판이다. ‘엑설런트 어드벤처’ ‘웨인스 월드’ ‘덤 앤 더머’ ‘킹핀’ ‘비비스와 버트헤드’ 등의 홍수가 한바탕 휘몰고 간 뒤에도 ‘내 차 봤냐?’ ‘제이 앤 사일런트 밥’ ‘파인애플 익스프레스’ 같은 영화가 명맥을 잇고 있다(근래 미국에서 대단한 성공을 거둔 ‘행오버’는 이 장르의 변형된 형태다).

코미디 듀오 중 영국 출신 사이먼 페그와 닉 프로스트는 특별한 경우에 속한다. 다른 듀오들이 일회성으로 활동하고 영화에 종속된 존재지만, 페그와 프로스트는 개별 작업 외에 듀오 활동을 병행하는 쪽이다. 평범한 외모의 페그와 뚱뚱한 프로스트가 함께 출연한 ‘숀 오브 데드: 새벽의 황당한 저주’ ‘뜨거운 녀석들’은 대서양 양편에서 엄청난 인기를 누렸고, 둘의 협력관계는 신작 ‘황당한 외계인: 폴’로 이어졌다. 더불어 공동 각본을 맡으면서 더욱 공고한 관계를 유지하게 됐다.

주목할 점은 ‘황당한’에 미국의 유력 인물들이 협력해 주었다는 사실이다. 미국 코미디계의 거대 세력인 저드 아패토 사단의 유명인들이 연출·배우·목소리 출연 등으로 나섰다. 스티븐 스필버그, 시고니 위버도 특별 참여를 마다하지 않았다. 면면에서 괴짜 영국인 듀오에 대한 깊은 신뢰감이 엿보인다. 영화의 특성상 아직 한국에선 별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으나, 유별난 영화에 흥미가 있는 팬이라면 반드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페그와 프로스트가 짝을 이룬 영화의 특징은 장르의 변종이다. 그들이 사랑해 마지 않는 B급 영화를 비롯해 온갖 잡다한 영화에서 따온 장면, 대사, 분위기를 낯설면서도 어색하지 않게 뒤틀어 버린다. 그런 이유로 그들의 영화는 관객을 가리는 편이다. 팬의 마음을 공유하는 관객은 웃음 끝에 눈물까지 줄줄 흘릴 테지만, 점잖은 드라마를 선호하는 관객은 머리를 설레설레 흔들지도 모른다.

‘황당한’에 가장 큰 영감을 준 건 ‘ET’ ‘레이더스’ ‘미지와의 조우’ ‘결투’ 등 스필버그 영화들이다. 스필버그 영화의 패러디와 헌사가 곳곳에 깃든 가운데, 미국 대중문화와 종교, 수많은 공상과학(SF) 영화를 가로지르는 지독한 농담들이 영화 전체에 가득하다. 단, 그들의 즐거운 취향이 장르 너머로 신랄한 풍자를 완성했는지는 의문이다. 거창한 클라이맥스가 분명 감동적임에도 영화는 전체적으로 지나치게 가볍고 허무하다. 영리하고 뻔뻔한 외계인과 머저리 지구인의 모험담이라면 좀 더 기상천외했어야 했다. 7일 개봉.

영화평론가
2011-04-05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