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하마스 충돌 격화…사망 28명 등 피해 속출

이스라엘-하마스 충돌 격화…사망 28명 등 피해 속출

입력 2014-07-09 00:00
업데이트 2014-07-09 1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스라엘 150여곳 공습…예비군 4만명 동원·지상군 투입 ‘임박’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대규모 공습을 가해 사상자가 속출하고 팔레스타인 무장조직 하마스는 이스라엘 수도 예루살렘 등을 로켓포로 공격하면서 양측이 확전을 거듭하고 있다.

예비군 4만명을 동원하며 지상군 투입 채비에 나선 이스라엘에 맞서 하마스 역시 로켓 발사 범위를 이스라엘 북부까지 확대하는 등 150여명의 사망자를 낸 2012년 11월의 ‘8일 교전’ 이래 최악의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 이’ 대규모 공습…하마스, 예루살렘에 로켓 반격

이스라엘군이 8일(현지시간)부터 9일 새벽까지 가자지구 150여곳을 공습, 28명이 숨지고 150명 이상이 다치는 등 팔레스타인 측 사상자가 잇따랐다고 AP와 AFP통신이 보도했다.

이 중 어린이 5명을 포함해 12명 이상이 민간인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설명했다.

가자지구에는 밤낮없이 폭발음이 들리고 건물이 흔들렸다. 접경지 주민들은 이스라엘군의 침공을 피해 가자지구 안쪽의 친척집 등지로 대피하고 있다.

하마스는 예루살렘 등 이스라엘 중심도시를 처음 로켓으로 공격하는 한편 북부 도시 하이파까지 공격 범위를 넓혔다.

하마스 산하 에제딘 알카삼 여단은 이날 성명을 내고 “처음으로 예루살렘과 텔아비브에 M75 로켓 4발씩, 북부지역 하이파에 R160 로켓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수도 예루살렘에는 공습 사이렌이 울리고 나서 폭발 굉음이 연달아 들렸다. 경제수도 텔아비브를 겨냥한 로켓포 2발은 이스라엘의 미사일방어 시스템 ‘아이언돔’에 격추됐으나 주민들이 서둘러 대피하는 등 혼란이 빚어졌다.

이스라엘은 로켓 한 발이 가자지구에서 140㎞ 떨어진 북부 하이파가 아니라 100㎞ 떨어진 하데라에 떨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렇다고 해도 지금까지의 하마스 로켓 공격 중 최장거리다.

로켓포 공격으로 인한 이스라엘의 인명 피해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 이스라엘, 지상군 투입 채비…전면전 우려

이스라엘은 4만 명 규모의 예비군에 동원령을 내리는 한편 가자지구 접경 지역에 2개 여단을 배치하며 지상군 투입 채비에 나섰다.

이츠하크 아하로노비츠 이스라엘 치안장관은 “(공격은) 하루 이틀에 끝나지 않을 것이고 지상 작전이 필요하면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셰 야알론 이스라엘 국방장관도 남부 지역에 특별비상사태를 선포하며 “모든 것을 동원한 작전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AP통신은 “이스라엘군이 지상 침투에 대비해 점차 국경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면서 “지상 침투는 아마도 수일 내에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마스도 “이스라엘이 2012년 말의 휴전합의를 깬 것”이라고 비난하면서 “이스라엘은 안정을 꿈도 꾸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어 양측이 공격수위를 높이다 전면전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 美·아랍 의견 갈려…”국제사회 개입” 목소리도

미국은 8일 전통적 우방인 이스라엘 지원에 나섰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계속 로켓 공격을 하며 고의로 민간인을 겨냥하는 것을 규탄한다”며 “이스라엘의 방어권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최근 하마스와 통합정부를 구성한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에게 로켓 공격 중단과 지역 안정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하마스의 이스라엘 로켓 공격을 비난하면서 양쪽에 민간인 살상과 지역 불안정을 불러오는 행위를 피해달라고 요청했다.

아랍권은 이스라엘의 공습을 비난하며 국제사회의 대응을 촉구했다.

아랍권 22개국으로 구성된 아랍연맹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을 중단시키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 소집을 추진하고 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터키 역시 외무부 성명을 내고 이스라엘에 즉각 공습을 중단하라고 요구하는 한편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개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