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美서 ‘고노담화’ 여론전…의회 등에 “문안 조정” 설명

日, 美서 ‘고노담화’ 여론전…의회 등에 “문안 조정” 설명

입력 2014-06-26 00:00
업데이트 2014-06-26 04: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워싱턴서 대응 문제 협의

일본 정부가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발표 이후 미국 의회와 싱크탱크 등을 상대로 조직적인 여론전에 나섰다. 고노 담화를 계승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다면서도 담화가 한·일 간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며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보상도 모두 끝났다고 강조하는 등 법적 책임을 교묘하게 회피하려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4일(현지시간) 워싱턴 외교 소식통들에 따르면 주미 일본대사관은 지난 20일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발표 직후부터 미 의회 관계자들을 다각적으로 접촉해 고노 담화 검증 의미를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설명하고, 일본 측의 입장을 정당화하는 자료를 작성해 싱크탱크 전문가 등에게 이메일을 전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 측은 자료에서 “이번 검증은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고노 담화 작성 과정을 밝히라는 야당의 요구에 따른 것”이라며 “보고서는 고노 담화 작성 과정에 대해 정부 밖의 학자와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를 객관적으로 기술한 것으로, 고노 담화를 결코 폄하하려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일본 측은 그러나 “한·일 간 고노 담화 문안에 대한 심도 있는 조정이 있었다”며 “고노 담화는 한·일 간 조정에 기초한 것이며 양국은 외교적으로 위안부 문제를 종료하고 미래지향적 양자 관계를 수립할 의향이었다”고 밝혔다.

일본 측은 또 “한국의 과거 위안부 여성 61명은 아시아여성기금을 통해 ‘보상금’으로 1인당 200만엔(약 2000만원)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한 소식통은 “일본 측이 고노 담화는 한국과의 정치적인 ‘야합’에 따른 것이었다며 마치 관용을 베푼 것처럼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며 “미 측은 일본의 태도에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우세하지만 일본과의 관계를 고려해 대놓고 말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한국 측의 중장기적·조직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워싱턴을 방문 중인 조태용 외교부 제1차관은 이날 국무부 청사에서 윌리엄 번스 부장관과 만나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발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우려를 전달하고 대응 문제 등을 협의했다. 번스 부장관은 최근 국무부 대변인이 밝힌 입장대로 일본의 고노 담화 계승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06-26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