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유력지 고노담화 수정론…위안부 강제성 부정

日유력지 고노담화 수정론…위안부 강제성 부정

입력 2013-08-01 00:00
업데이트 2013-08-01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미우리, 美 위안부 소녀상 설치에 위안부문제 재검증 촉구

일본에서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보수지 요미우리 신문이 1일 사설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을 사실상 부정하며 고노(河野)담화 수정론을 펴고 나섰다.

1993년 8월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관방장관이 발표한 이 담화는 위안소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일본군 당국의 관여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는 내용과 그에 대한 사죄와 반성을 담고 있다.

여론 형성 및 정부 정책 방향에 큰 영향력을 가진 요미우리는 사설에서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글렌데일시에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이 설치되기까지 고노담화가 논거를 제공했다면서 “’성노예’라는 왜곡을 시정하기 위해서라도 고노담화의 재검토가 불가결하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고노담화를 시작으로 위안부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증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사설은 “전쟁 중에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을 손상시키는 행위가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면서 “현재의 인권 감각으로 위안부 문제가 재단된다면 일본은 정치적으로 승산이 없을 것”이라는 현실 인식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사설은 “그래도 위안부 강제연행의 유무에 관해서는 정확한 사실 관계를 계속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위안부 강제연행을 사실상 부정하는 아베 내각과 우파들의 인식에 보수언론이 본격적으로 동조하고 나선 것이어서 우려를 낳고 있다.

아베 정권은 줄곧 ‘일본 정부 조사에서 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주장해 왔으나 최근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연행을 입증하는 ‘바타비아 임시군법회의기록’(법무성 관계자료)을 발견하고도 묵살한 사실이 확인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