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행 석유·가스 길목서… 아제르·아르메니아 전면전 위기

유럽행 석유·가스 길목서… 아제르·아르메니아 전면전 위기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9-28 22:12
업데이트 2020-09-29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캅카스 앙숙’ 충돌 어린이 등 수백명 사상

양국 보복 다짐하며 계엄령 선포 등 나서
러시아·터키 패권 다툼 등 뒤엉킨 분쟁지
유엔 등 중재에도… 터키 “아제르 지원”

‘캅카스의 화약고’인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이 27일(현지시간) 분쟁 지역인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무력 충돌해 최소 39명이 숨지고 수백명이 부상했다. 양국이 보복을 다짐하는 등 전면전 비화 우려에 국제사회가 자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AFP통신 및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양국은 이날 전투기, 탱크, 드론을 앞세워 상대 지역을 공격했고, 이 과정에서 아르메니아 무장세력 32명과 여성·아이 등 민간인 2명, 아제르바이잔 민간인 가족 5명 등이 사망했다. 충돌 직후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는 “아제르바이잔의 권위주의 정권이 다시 우리 국민에게 전쟁을 선포했다”며 “남캅카스에서 전면전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위협했다.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도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아제르바이잔”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양국은 모두 계엄령과 성인 남성 총동원령을 내리는 등 전운이 짙어졌다. 옛 소련 시절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아르메니아계가 다수이면서도 영토는 아제르바이잔에 속해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아르메니아와 통합하려는 주민 움직임을 놓고 양국이 1992~1994년 전쟁을 치르며 불씨가 이어져 왔다. 현재 이 지역의 실효적 지배는 아르메니아가 하고 있다.

러시아 지원을 받는 아르메니아, 터키를 배후에 둔 아제르바이잔이 대리전을 치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러시아·터키가 패권 다툼을 벌이는 캅카스 지역은 석유·천연가스의 유럽 배급로이기도 해서 이 지역이 불안해지면 국제 에너지 시장이 출렁일 수 있다.

최근 수주간 이어진 갈등에 대해 국제사회의 중재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나오면서 유엔과 유럽연합(EU), 미국, 러시아가 대화를 촉구하기 시작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파시냔 총리에게 ‘적대행위 중단’을 권했고, 미 국무부는 “외부 세력이 개입하는 것은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터키는 같은 튀르크계 민족이자 이슬람 국가인 아제르바이잔에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터키 국민은 언제나처럼 모든 수단을 동원해 아제르바이잔의 형제들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0-09-29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