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죽어나가는’ 벨기에, 통계가 간과하고 있는 것들

가장 많이 죽어나가는’ 벨기에, 통계가 간과하고 있는 것들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5-03 10:00
수정 2024-04-16 15: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로이터 자료사진
로이터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코로나19 대응 태스크포스 브리핑을 할 때 자주 등장하는 그래픽이 있다. 벨기에가 맨위고, 미국이 일곱 번째로 표시된 것인데 10만명당 사망자 숫자다.

존스홉킨스 대학의 집계에 따르면 3억 3000만명의 인구를 거느린 미국은 19명이 사망한 반면, 1150만명 밖에 안되는 벨기에는 66명이 숨졌다. 그나마 트럼프 대통령이 잘 대처해 효과적으로 코로나19을 통제하고 있다고 큰소리를 치는 근거가 된다고 영국 BBC가 2일(현지시간) 전했다.

감염병 전문의이며 벨기에 정부 대변인인 스티븐 반 구트 교수는 “허점 많은 비교가 남발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공중보건의 관점과 정치적 동기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 고무되긴 하겠지만 틀렸다. 실제로 우리는 조금 더 정확한 방식으로 실태를 보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나라는 다른 나라와 달리 병원과 요양원에서의 죽음, 심지어 감염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죽음까지 통계에 집어넣고 있다. 얼마 전 7703명의 사망자 가운데 53%가 요양원에서 숨을 거뒀다. 이 가운데 16%만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나머지 3500명 이상은 의심 되는 상황에 숨졌다.

반 구트 교수는 “같은 요양원에 코로나19 환자가 있는지 등을 따져 의사가 평가한다. 예를 들어 한두 건의 감염 사례가 있으면 일주일 뒤 같은 요양원에서 10명이 비슷한 증상으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고 말했다. 소피 윌메스 총리는 실제 숫자보다 더 많은 코로나19 사망자 수치가 잡혔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구트 교수는 실제 사망 숫자는 보고된 것보다 많을 수 있으며 여전히 몇몇 사례를 빠뜨렸을 수 있다고 했다.

다른 유럽 나라보다 벨기에는 사랑하는 이를 요양원에 보내고 있는 사정도 감안해야 한다. 벨기에보다 1000명당 65세 이상 요양원 수용 인원을 기록하는 나라는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 뿐이다. 여기에다 정부 관리들도 초기 대응 준비에 소홀한 실수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개인 보호장구(PPE)를 요양원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데 실패해 화를 키웠다는 것이다.
감염병 학자들은 요양원 수용자의 10% 정도가 무증상 보균자로 이미 면역이 형성됐다고 보고 있다. 하루 1만~2만건 정도 검사하는데 비상요원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500여곳의 요양원 수용자와 직원 21만명 전수를 검사해 절반 정도의 요양원에서 10% 정도가 감염된 것을 파악했다. 항체 검사를 이달 중순 시작할 예정이다.

특이한 점은 각국이 서두르고 있는 추적 애플리케이션을 채택할 여지가 상대적으로 적어 보인다는 점이다. 정부 태스크포스의 좌장인 필리페 드 배커 박사는 당장은 인간적으로 추적하는 데 더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추적 앱이 유용한 결과를 내려면 국민의 60% 정도는 자발적으로 참여해야 하는데 지금으로선 비현실적이라고 본다고 했다.

“오스트리아에서 9~10%에 머무르고 있다. 이렇게 되면 90%는 다른 방식으로 추적해야 한다.” 벨기에는 4단계에 걸쳐 봉쇄 정책을 누그러뜨리고 있는데 2000명의 “코로나 탐정”을 기용해 환자나 의심스러운 증상을 보이는 사람을 접촉한다.

또 남부 샤를로이, 동부의 하셀트와 신트트루이덴 세 도시에서 환자가 집중 발생한 것에 특히 우려하고 있다. 이 도시들의 축제와 거리 행진이 감염병을 확산시켰고 이탈리아 이민 2세대가 많은 요인도 들여다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난 때문에 감염병이 더 번졌는지 주시하고 있다.

벨기에 병원들이 주로 지금까지 감염병에 대처해왔는데 현재 병상 점유율은 42% 정도다. 하지만 수도 브뤼셀 병원들은 환자들이 넘쳐나 일부를 다른 지역 병원으로 전원해야 하는 상황이다. 봉쇄 빗장이 완전히 걷히면 9월에 재확산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반 구트 교수는 “여름이 끝난 뒤 모든 학교가 개학하면 또다시 빠르게 확산할 수 있다. 겨울이 다가오면 마찬가지로 내 걱정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