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높아지는 우크라이나…시위 무력진압에 강력반발

긴장 높아지는 우크라이나…시위 무력진압에 강력반발

입력 2013-12-01 00:00
업데이트 2013-12-01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권, 대통령 탄핵·조기선거·총파업 등 촉구

유럽연합(EU)과의 협력협정 체결중단에 항의하는 우크라이나 야권이 30일(현지시간) 경찰의 시위대 무력 진압에 반발해 대통령 탄핵과 내각 총사퇴, 조기선거, 총파업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개혁을 위한 우크라이나 민주동맹’(UDAR) 당수 비탈리 클리치코는 이날 “모두 밖으로 나와 어떤 나라에서 살고 싶은지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경찰 통제하에 당신의 아이들이 얻어맞는 전체주의 국가인가 아니면 유럽 국가인가”라고 성토했다.

우크라이나 최대 야당 ‘바티키프쉬나’(조국당) 대표 아르세니 야체뉵도 전날 열린 비상 기자회견에서 야권이 국가 저항 태스크포스(TF)를 결성하기로 하고 전국단위 총파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야체뉵은 또한 30일 새벽 시위대가 무력진압되고 나서 “오늘 EU 국가 대사들을 만나 진지한 대화를 나눴다. 서방 국가들의 분명하고 단호하고 대응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EU와의 협력협정 불발에 항의하는 반정부 시위가 1주일 넘게 이어지고 있다.

시위 7일째인 29일 밤에도 키예프 시내 중심가 독립광장에서 1만여명이 모여 대규모 시위를 벌이다 30일 새벽 최루탄과 진압봉을 동원한 시위진압 특수부대 요원들에 강제해산됐다.

이 과정에서 30여명이 경찰에 체포되고 수십 명이 부상했으며 경찰에 쫓긴 시위대 일부는 인근의 성미카엘 황금돔 수도원에 모여있다.

직권남용 혐의로 복역중인 율리아 티모셴코 전 총리는 딸 예브게니아를 통해 성미카엘 황금돔 수도원 앞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시위대에게 반정부 운동을 이어갈 것을 촉구했다.

티모셴코 전 총리는 “모두 단결해서 이 나라의 정의와 주권을 되찾자”며 “우크라이나의 어머니 아버지들이 당국의 처사를 그대로 내버려두지 말기를 바란다. 야누코비치 정권의 독재와 폭력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위 무력진압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도 이어지고 있다.

젠 사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폭력과 협박이 오늘날의 우크라이나에 자리잡아서는 안된다. 평화시위대에 폭력을 사용한 (우크라이나) 정부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EU 순회의장국인 리투아니아의 리나스 린캬비츄스 외무장관도 “수도 키예프 한복판에서 평화시위대에 폭력을 쓴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우크라이나 정부가 인권을 존중하고 법치의 원칙에 따르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캐서린 애슈턴 EU 외교안보 고위대표와 스테판 풀레 EU 확대담당 집행위원도 우크라이나 정부의 폭력 사용을 규탄하고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아직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고 있으나 미콜라 아자로프 총리는 성명에서 “현재까지 확보한 정보만으로는 이번 도발의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결론내리기 어렵다”면서 상황을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