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와 기대 사이’...글로벌 증시 코로나19로 역대급 ‘널뛰기’

‘공포와 기대 사이’...글로벌 증시 코로나19로 역대급 ‘널뛰기’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3-06 12:16
업데이트 2020-03-06 1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일 폭등, 폭락 반복하며 경제 불안감 표출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한 트레이더가 시세를 살펴보고 있다. 뉴욕 신화 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한 트레이더가 시세를 살펴보고 있다.
뉴욕 신화 연합뉴스
‘5.09% 상승, 2.94% 하락, 4.53% 상승, 3.58% 하락’

코로나19 사태 확산 여파로 미국 뉴욕증시가 역대급 ‘널뛰기’ 장세를 보이고 있다. 2일(현지시간)에는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5% 넘게 폭등했다가 다음날에는 경기침체 우려로 3% 가까이 빠졌다. 4일 전 세계 ‘돈 풀기’ 공조가 본격화되자 4% 이상 오르더니 이튿날에는 코로나19 확산 염려로 3% 넘게 떨어졌다. 나흘 연속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는 불안한 롤러코스터 장세다.

5일 미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969.58포인트(3.58%) 폭락한 2만 6121.28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다우지수는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미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슈퍼 화요일)에서 선두로 치고 나오면서 1200포인트 가까이 급등했다. 하지만 하루 만에 상승 폭 대부분을 반납했다. 다우지수는 이날 장중 한때 110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6.18포인트(3.39%) 하락한 3023.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279.49포인트(3.1%) 추락한 8738.60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코로나19 확산과 주요국 중앙은행 및 재정 당국의 대응책을 저울질하다가 결국 감염병으로 세계 경제가 받을 충격이 예상보다 클 것이라는 공포가 승리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사망자와 확진자가 꾸준히 늘어나는 점도 불안감을 키웠다. 미 워싱턴주에 이어 캘리포니아주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늘면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시애틀의 아마존 직원 가운데 확진환자가 나오면서 기업 운영에도 차질이 생겼다.

6일 아시아 증시도 동반 하락했다. 특히 일본 도쿄 닛케이평균주가는 전날보다 579.37포인트(2.72%) 떨어진 2만 749.75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해 9월 4일 뒤로 거의 반년 만에 최저 수준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전날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겠다며 한국인과 중국인의 입국을 사실상 차단하는 조치를 발표하자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교도통신은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경계감이 이날 시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전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은 본격적으로 경기 부양에 나서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기준 금리를 50베이시스포인트(bp) 기습 인하한 데 이어 캐나다 중앙은행(BOC)도 같은 폭으로 금리를 내렸다. 앞서 호주도 금리를 인하했다. 미 상원은 83억 달러 규모의 긴급 예산 법안을 통과시켰고 국제통화기금(IMF)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500억 달러 규모의 대출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다른 나라도 적극적인 부양책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부양책이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란 비관론도 만만찮다. 월가에서 ‘신(新)채권왕’으로 불리는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 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연준이 패닉에 빠졌다. 단기 미국 금리는 제로를 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