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원교근공’ 외교… 한일 때리고 美·호주는 특별대우

中 ‘원교근공’ 외교… 한일 때리고 美·호주는 특별대우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1-12 22:40
업데이트 2023-01-13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강 “한일 방역 조치, 비과학적
중국인 차별에 대응할 이유 있어”
美·호주와 항공편 운항 재개 추진
기시다 “비자 제한 일방적… 유감”

이미지 확대
중국이 미국과 유럽연합(EU) 국가를 빼고 한국과 일본에 대해서만 중국행 비자 발급을 상당 부분 중단하는 조치를 취한 데 대해 전통 외교전략인 ‘원교근공’(遠交近攻·먼 나라와 친하게 지내고 가까운 지역은 공격)이라는 분석이 눈길을 끈다.

12일 봉황위성TV에 따르면 아프리카를 순방 중인 친강(왼쪽) 중국 신임 외교부장은 ‘중국은 왜 한국·일본에 방중 비자를 일시 중단했는가’라는 언론 질의에 “두 나라가 중국인 관광객에 대해 취한 조치가 차별적이고 비과학적이며 지나쳐 이에 대응할 이유가 있다”고 답했다. 전날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국들의 대중국 차별적 조치에 근거해 대등하게 맞섰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의 입장은 양국에 대한 비자 중단 조치에 충분한 정당성이 있다는 논리이다.

그러나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를 강화하고 나선 미국과 호주에는 보복은커녕 항공편 운항 정상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 민항국 운수사 량난 사장(국장)은 지난 10일 외국 상공계 인사들과의 간담회에서 “항공편 운항 재개 과정에서 미국 민항 부문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중미 간 운항 재개를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가디언도 “중국 항공사들이 호주행 항공편을 빠르게 늘려 호주를 찾는 중국 여행객이 급증할 것”이라고 전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전형적인 원교근공 전략을 쓴다고 본다. 인접 국가는 전쟁 상대가 될 수 있기에 항상 경계하고, 먼 국가와는 유사시 도움을 받을 수 있기에 친교를 강화한다는 의미다.

이 전략에 근거해 인도태평양(인태) 지역에서 미국의 ‘대중 포위망’ 구축에 합세한 한국과 일본이 보복 타깃이 됐다는 것이다.

일본에 대한 중국의 규제가 한국에 대한 조치보다 훨씬 강하다는 것도 이런 분석에 힘을 싣는다. 최근 일본은 반격 능력(적 기지 공격 능력)을 3대 안보 문서에 명기하고 13일 미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방위 지침도 전면 개정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베이징이 더 강하게 도쿄를 압박한다는 것이다. 반면 중국은 ‘위드 코로나’ 전환을 계기로 미국과의 관계 관리에 나섰고 호주와는 ‘해빙’을 모색해 두 나라에 대한 보복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위해 런던을 찾은 기시다 후미오(오른쪽) 일본 총리는 11일 “(중국이) 코로나19 대책과는 관계가 없다고 생각되는 비자 발급 제한을 일방적으로 했다.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고 NHK가 보도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과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도 전날 중국의 비자 발급 중단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철회를 요구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2023-01-13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