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득표는 힐러리가 앞서, “민심 왜곡” 목소리도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득표는 힐러리가 앞서, “민심 왜곡” 목소리도

장은석 기자
입력 2016-11-10 08:25
업데이트 2016-11-10 0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클린턴, 결과 승복…”트럼프, 성공적 대통령 되길 바래”
클린턴, 결과 승복…”트럼프, 성공적 대통령 되길 바래” 미국의 제4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가 역전패를 당한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후보(가운데)가 9일(현지시간) 오전 뉴욕 맨해튼의 뉴요커 호텔에서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왼쪽)과 러닝메이트인 팀 케인 부통령 후보가 지켜보는 가운데 선거 결과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클린턴은 “패배한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트럼프가 우리 모두를 위한 성공적인 대통령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2016-11-10 사진=AP 연합뉴스
미국 대선에서 예상을 깨고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제45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트럼프가 선거인단 확보에서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에 압승했지만, 개표 결과 전체 득표 수에서는 힐러리가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득표와 무관하게 후보별 선거인단 확보 수로 승패를 가르는 독특한 미국의 선거제도 때문이다.

클린턴으로서는 더 많은 민심을 얻었지만 독특한 선거제도 탓에 백악관행을 트럼프에게 내준 셈이어서, 민심을 왜곡하는 이 선거제도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9일 오후 3시를 기준으로 전국 개표율이 92%로 집계된 가운데 트럼프의 득표수는 5946만여 표(47.5%)로, 클린턴(5967만여 표·47.7%)보다 약 21만 표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후보가 확보한 선거인단 수(CNN 집계 기준)는 트럼프가 290명에 달한 반면 클린턴은 228명에 그쳤다.

트럼프는 당락의 기준인 선거인단 과반(270명)을 확보해 대통령에 당선됐다.

이는 득표와 무관하게 후보별 선거인단 확보수로 승패를 가르는 미국의 독특한 선거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8일 치러진 선거는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아니라 일반 유권자들이 선거인단을 선출하는 선거다.

메인과 네브래스카를 제외하고 워싱턴DC와 나머지 48개 주는 ‘승자독식’ 방식으로 선거인단을 뽑는다. 주별 선거에서 한 표라도 더 많이 얻어 이긴 후보가 그 주에 걸린 선거인단을 싹쓸이한다.

대통령 선거인단은 총 538명이며, 선거인단은 인구 비례에 따라 배정되기 때문에 주마다 선거인단 수가 다르다.

선거인단 과반인 270명을 확보하는 후보가 내달 19일 선거인단 투표에서 대통령으로 공식 선출된다.

즉 유권자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더라도 선거인단 확보 수에서 뒤지면 대통령이 되지 못할 수 있다.

트럼프는 선거인단이 가장 많이 걸린 캘리포니아(55명)와 뉴욕(29명)에서 클린턴에게 밀렸지만, 공화당 텃밭 텍사스(38명)와 경합주 플로리다(29명)·펜실베이니아(20명)·오하이오(18명)를 차지해 백악관 입성에 성공했다.

이미 주별 승자가 확정된 만큼 트럼프와 클린턴 후보가 각각 확보한 선거인단 수는 변동이 없지만, 만약 최종 득표수 집계에서도 클린턴이 득표에서 앞선다면 그는 2000년 민주당 앨 고어에 이어 16년 만에 득표에서는 앞서고 선거에서는 패배하는 후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당시 앨 고어는 전국 득표율에서 48.4%를 얻어, 47.9%를 얻은 공화당의 조지 W.부시를 이겼지만, 선거인단 확보 수에서는 266대 271로 패했다.

고어는 전국적으로 53만7천여 표 앞섰으나, 승부처인 플로리다 주에서 537표 차이로 지는 바람에 이 주에 걸린 선거인단 25명을 빼앗겨, 무릎을 꿇고 말았다.

그는 대법원에 소송까지 제기했다가 대법원이 재검표를 중단시키자 선거일로부터 5주 뒤인 12월 13일에 패배를 인정했다.

부시와 민주당 후보 존 케리가 맞붙었던 2004년 대선도 자칫하면 결과가 뒤바뀔 뻔했다.

부시가 선거인단 286명을 확보해 케리(252명)에 앞서 승리했다. 하지만 케리가 경합주 오하이오에서 10만 표만 더 얻어 선거인단 20명을 확보했다면 결과는 달라질 수 있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