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원유 수출 빗장 풀다

美, 원유 수출 빗장 풀다

입력 2014-06-26 00:00
업데이트 2014-06-26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셰일가스 개발 여파 비정제유 첫 허용

미국 정부가 39년 만에 원유 수출 금지를 사실상 해제하는 첫 조치로 비정제 석유 수출을 허용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전했다. 셰일가스 개발이 활기를 띠면서 수출 금지 빗장을 푸는 분위기다.

WSJ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텍사스 어빙에 있는 ‘파이어니어 내추럴 리소시즈’와 휴스턴의 ‘엔터프라이즈 프러덕츠 파트너스’ 등 에너지업체 2곳에 대해 초경질유(콘덴세이트)를 수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상무부에서 수출을 감독하는 산업안보국(BIS)은 이들 업체가 초경질유를 가솔린이나 제트연료, 디젤 등으로 가공할 수 있는 외국 구매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 이들 업체도 “이 같은 정부 결정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WSJ는 업계 한 임원의 말을 인용, 최소한의 가공 과정을 거쳐 이르면 오는 8월 수출을 위한 선적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미 기업들은 가솔린과 디젤 같은 정제된 연료는 수출할 수 있지만 원유 자체를 수출할 수는 없다. WSJ는 “공개적으로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미 정부의 새로운 접근 방식은 최소한의 공정을 거친 초경질유를 연료로 재규정함으로써 해외 수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상무부는 기업들이 전통적인 의미의 정제유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해외 수출 자격이 있도록 원유를 가공하는 방식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WSJ는 업계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첫 선적은 소규모일 가능성이 있지만 궁극적으로 셰일가스 회사들의 일일 생산량인 300만 배럴의 많은 부분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은 1차 석유파동 이후인 1975년 에너지 안보를 확립하기 위해 원유 수출을 금지했으나 최근 셰일가스 개발 붐에 힘입어 일일 산유량이 급속도로 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일간 산유량은 3월 기준 820만 배럴로,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957만 배럴)의 수치에 근접했다. 이에 따라 대형 석유회사들은 정부에 원유 수출 재개를 요구해 왔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06-26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