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포 대신 최루탄… 브라질 ‘분열의 월드컵’

축포 대신 최루탄… 브라질 ‘분열의 월드컵’

입력 2014-06-11 00:00
업데이트 2014-06-11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막 앞두고 파업 지하철노조와 충돌

2007년 당시 브라질이 2014년 월드컵 개최지로 선정됐을 때 상파울루 거리는 환희로 넘쳐 났다. 7년 후 열릴 월드컵이 군사독재 타도 이후 자국이 이룬 경제적 번영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으로 대표되는 사회민주주의의 성과를 온 세상에 자랑하는 잔치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

이미지 확대
월드컵 개막을 사흘 앞둔 9일(현지시간) 브라질 상파울루의 아나로사 지하철역에서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 중인 지하철 노동자들이 한때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상파울루 AP 연합뉴스
월드컵 개막을 사흘 앞둔 9일(현지시간) 브라질 상파울루의 아나로사 지하철역에서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 중인 지하철 노동자들이 한때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상파울루 AP 연합뉴스


월드컵 개막을 사흘 앞둔 9일(현지시간). 상파울루 거리는 한때 파업에 나선 지하철 노동자들을 강제 해산하기 위해 살포된 최루가스로 자욱했다. 노조가 10·11일 파업을 일시 중단했지만 곧 파업 재개 여부를 묻는 조합원 투표가 열린다. 또 12개 월드컵 경기장 신축 현장에서 지금까지 8명이 사망했으나 공사가 마무리된 경기장도 거의 없다. 축제를 위해 11억 달러(약 11조 2000억원)를 쏟아부었지만, 국민의 가슴속엔 월드컵 증오만 커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월드컵 개막, 브라질의 분열’이라는 기사를 통해 ‘축구의 나라’가 축구 축제를 거부하는 아이러니를 조명했다. 역사학자 안토니오 리세리오는 이번 대회를 “불안과 냉소가 흥분을 압도하는 미증유의 월드컵”이라고 규정했다. 퓨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브라질 국민 중 39%는 월드컵으로 인해 브라질의 위상이 더 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축구황제’ 호나우두는 준비 부족에 대해 “수치스럽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월드컵에 대한 불만이 단지 준비 부족에서 기인한 것만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오히려 “브라질 국민은 계속되는 경기침체와 월드컵을 둘러싼 혼란을 겪으며 국가의 진로에 대해 근원적인 회의를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브라질 사람들에게 축구는 열정의 상징이자 자랑이었지만, 이제는 ‘삶의 질’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휘황찬란한 국가대표팀 트레이닝센터 외곽에서 파업 시위를 벌이는 교사들은 “(축구 신성) 네이마르보다 교육이 먼저”라고 외치고 있다.

2년 뒤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되는 하계올림픽이 또다시 혈세를 빨아들일 게 뻔해 불만은 더 증폭되고 있다. 멕시코는 1968년 올림픽과 1970년 월드컵을 잇달아 개최하며 선진국 도약을 꿈꿨으나 과도한 지출로 오히려 국력이 쇠약해졌다. 브라질이 멕시코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큰 셈이다. 브라질 주간지 에포카의 편집장 헬리오 구로비츠는 “축구의 빛이 너무 강해 현실을 직시하지 못했다”면서 “계획도, 감시도 없이 ‘닥치면 다 잘될 거야’라고 생각하다가 결국 마지막 날까지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브라질 남부지역의 집중호우로 6만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심술궂은 날씨 역시 월드컵을 위협하고 있다.

이창구 기자 window2@seoul.co.kr
2014-06-11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