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이 지나도… 9·11 희생 잊지 않은 미국

13년이 지나도… 9·11 희생 잊지 않은 미국

입력 2014-05-17 00:00
업데이트 2014-05-17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욕 9·11 추모박물관 개관

피 묻은 신발과 찢어진 지갑, 불에 탄 소방관 헬멧…. ‘9·11 테러’ 당시 아비규환의 현장이 고스란히 재현됐다.

2001년 9·11테러가 발생한 지 13년 만에 ‘국립 9·11 추모박물관’이 15일(현지시간) 당시 테러로 무너진 미국 뉴욕 맨해튼 세계무역센터 자리에 문을 열었다. 개관식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부부와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부부를 비롯해 유가족, 생존자, 구조대원 등 700여명이 참석해 서로의 손을 붙잡고 눈물을 삼켰다.

오바마 대통령은 추모사에서 “어떤 테러 행위도 미국의 강인함에 대적할 수 없다”며 “오늘 (박물관의) 벽과 바닥이 우리를 둘러싼 것처럼 어떤 것도 우리를 꺾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 세대는 물론 아직 태어나지 않은 다음 세대도 미국 영토에서 벌어진 최악의 테러를 잊지 못할 것”이라고 박물관 개관의 의미를 되새겼다.

오바마 대통령이 유가족을 소개한 데 이어 남편을 잃은 한 가수가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부르자 모두가 숙연해졌다. 뉴욕타임스 등 미 언론은 오바마 대통령의 추모사가 9·11테러 주범인 오사마 빈라덴 사살 등의 대외 정책 성과에 대한 언급 없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구조 노력을 치하하는 데 초점을 맞춰 인상적이었다고 평했다.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은 “추모박물관은 자유가 엄청난 책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며 “추모박물관 내부를 둘러보는 것은 고통스러울 수 있으나 그만큼 충분히 느끼는 것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모박물관에는 희생자들의 사진, 유품 등 1만 2500점과 소방·재난 담당자들의 교신 등 음성 기록 1995건, 테러범들이 공항에 들어서는 장면 등 580시간 분량의 영상 기록 등이 전시됐다. 이날 유가족 등 관계자들에게 먼저 공개된 추모박물관은 21일부터 일반 관람객을 맞는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05-17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