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Q 50 지적장애인에서 희망 아이콘으로

IQ 50 지적장애인에서 희망 아이콘으로

입력 2013-08-20 00:00
업데이트 2013-08-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기부여 강사 된 美 다운증후군 여성 해치

지난 8일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서 열린 ‘버지니아주 지적장애인 인권협회’(AOV) 총회장. 사회자의 소개로 연설대에 오르는 한 20대 여성을 참석자들이 기립박수로 맞았다. 아이큐(IQ) 50의 다운증후군 지적장애인 제니 해치(29)였다.

제니 해치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 햄프턴에 있는 자신의 방에 앉아 있는 모습. 워싱턴포스트
제니 해치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 햄프턴에 있는 자신의 방에 앉아 있는 모습.
워싱턴포스트
해치는 지난 2일 법원에서 “지적장애인이라도 본인의 거주지를 스스로 선택할 권리가 있다”는 판결을 받은 바 있다.<서울신문 8월 6일자> 부모가 일방적으로 지정해준 지적장애인 집단거주지(그룹홈)가 아니라 해치의 희망대로 친구 집에서 거주할 수 있게 한 판결이었다. 판결 직후 해치는 유명 인사가 됐고 전국 각지에서 강연 등 각종 행사 초청장이 쇄도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지난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치는 AOV 총회장 연설에서 “나를 아이 취급하고 휴대전화와 컴퓨터를 못 쓰게 하는 그룹홈이 싫었다. 나는 나의 권리가 있다. 나는 지금 살고 있는 곳이 좋다”고 말했다. 청중들은 3차례 기립박수로 화답했다. 강연이 끝난 뒤에는 사인회가 이어졌다. 이 지역 다운증후군협회 이사인 데닐 프랜시스는 “해치는 장애인들에게 희망의 상징이자 영웅이 됐다”고 했다. 이 협회는 해치를 오는 10월 열리는 지적장애인 달리기 대회 시상자로 초빙했다.

해치가 AOV 총회장 연설을 끝내고 무대를 내려오자 그녀의 변호인이었던 조너선 마티니스가 등단해 “여러분도 해치처럼 자신의 권리를 위해 싸우라”고 말했다.

법원 판결 후 ‘제니에게 정의를’이라는 페이스북에는 수백통의 격려 글이 쇄도했다. “당신은 전 세계의 장애인들을 위한 횃불을 들고 달렸다”, “해치의 스토리를 영화로 만들어야 한다” 등의 글이었다. 해치를 직접 만나는 사람들 중에는 “당신의 판결을 통해 사회가 장애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고 말하는 경우도 많다.

해치는 “나는 연설하는 게 좋다”면서 지적장애인 최초로 ‘동기 부여 강사’로 활동하는 데 대한 의욕을 보였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8-20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