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돕느라 유럽 탄약고 텅텅…채우려면 10년 걸린다”

“우크라 돕느라 유럽 탄약고 텅텅…채우려면 10년 걸린다”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4-02-14 16:01
업데이트 2024-02-14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2일(현지시간) 유럽 최대 무기·군수품 생산업체 중 하나인 독일 라인메탈의 니더작센주 운터뤼스 지역 공장 착공식에 참석한 (왼쪽부터) 아르민 파페르거 라인메탈 최고경영자(CEO),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 2023.2.12 EPA 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유럽 최대 무기·군수품 생산업체 중 하나인 독일 라인메탈의 니더작센주 운터뤼스 지역 공장 착공식에 참석한 (왼쪽부터) 아르민 파페르거 라인메탈 최고경영자(CEO),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 2023.2.12 EPA 연합뉴스
유럽 최대 무기·군수품 생산업체 중 하나인 독일 라인메탈의 아르민 파페르거 최고경영자(CEO)는 유럽 탄약고가 바닥났으며, 자력 방어에 필요한 만큼 탄약고를 다시 채우려면 10년은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12일(현지시간) 니더작센주 운터뤼스 지역 공장 착공식에서 파페르거 CEO는 유럽 탄약고가 현재 “텅텅 빈” 상태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파페르거 CEO는 “우리는 유럽에서 연간 (포탄) 150만 발을 생산해야 한다”며 유럽산 탄약이 대부분 우크라이나로 보내지기에 유럽에 재고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전쟁이 있는 한 우리는 우크라이나를 도와야 하지만, 나중에 진짜로 (탄약고를) 채우려면 최소 5년이나 10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페르거 CEO는 “나토와 싸우기를 원하는 공격자”로부터 대비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 “3∼4년이면 괜찮지만, 진짜로 대비하는 데는 10년이 필요하다”고 예상했다.

라인메탈은 새 공장에 3억 달러(약 4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연간 20만 발의 포탄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12일(현지시간) 유럽 최대 무기·군수품 생산업체 중 하나인 독일 라인메탈의 니더작센주 운터뤼스 지역 공장 착공식에 참석한 올라프 숄츠(가운데) 독일 총리와 보리스 피스토리우스(왼쪽 두번째) 국방장관, 아르민 파페르거 라인메탈 최고경영자(CEO)가 현장에서 직원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2023.2.12 AP 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유럽 최대 무기·군수품 생산업체 중 하나인 독일 라인메탈의 니더작센주 운터뤼스 지역 공장 착공식에 참석한 올라프 숄츠(가운데) 독일 총리와 보리스 피스토리우스(왼쪽 두번째) 국방장관, 아르민 파페르거 라인메탈 최고경영자(CEO)가 현장에서 직원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2023.2.12 AP 연합뉴스
파페르거 CEO의 언급은 미국 공화당의 유력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동맹국들이 방위비를 제대로 내지 않으면 러시아가 공격으로부터 보호해주지 않겠다는 ‘폭탄 발언’을 한 가운데 나왔다.

유럽 각국 정상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을 비판하는 한편으로, 유럽 안보를 강화하겠다고 다짐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이날 트럼프 전 총리의 언급과 관련해 나토가 미국과 캐나다, 유럽 국가들에 “본질적인” 조직이라고 말했으며, 이후 자신의 엑스(X·트위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언급이 “무책임하고 위험하다”고 썼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미국의 지원 철회 시 유럽이 자력 대처해야 하는지 질문에 무슨 일이 있더라도 유럽이 대비해야 한다고 답하면서 “점점 더 공격적으로 되는 러시아”가 유럽의 안보 증강 필요성을 방증한다고 강조했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