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中영사관 도피했던 ‘군사연구원’ 체포돼

미국 내 中영사관 도피했던 ‘군사연구원’ 체포돼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7-25 08:20
업데이트 2020-07-25 08: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연방수사국(FBI)에 체포된 중국 군사연구원 탕주안. 2020.7.25  미 법무부 제공
미국 연방수사국(FBI)에 체포된 중국 군사연구원 탕주안. 2020.7.25
미 법무부 제공
FBI “탕주안, 인민해방군·中공산당과 연계 숨기고 비자 신청”


영사관 폐쇄 조치로 미중 간 대립이 격화하는 가운데 미국 주재 중국 영사관에 숨었던 중국인 군사 연구원이 미국 당국에 체포됐다고 AP·로이터통신 등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법무부는 전날 샌프란스시코 주재 중국 영사관에 은신해 있던 군사 연구원 탕주안(37·여)을 체포했다고 이날 밝혔다. 탕은 오는 27일 법정에 출두할 예정이다.

법무부는 다만 구체적인 체포 과정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는 탕은 미국에 비자를 신청할 당시 중국 인민해방군 복무 경력과 중국 공산당 연루 사실을 거짓으로 부인한 혐의로 기소됐다.

탕은 지난해 10월 이 대학에서 암 치료를 연구하겠다며 미국 비자를 신청했다.

미 연방수사국(FBI) 요원들은 탕에 대한 인터넷 뉴스 검색 기록을 근거로 그녀가 명백히 군과 연루돼 있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달 20일 캘리포니아주 데이비스에 있는 탕의 아파트에서 탕과 면접조사를 할 때 수색영장을 집행해 전자장비를 압수했는데, 이 과정에서 인민해방군 제복을 입은 탕의 사진이 발견됐다.

또 FBI 요원들이 찾아낸 정부 수당 신청서에서 탕은 자신을 중국공산당 당원이라고 표시했다.

이와 같은 혐의에 대해 탕은 자신이 다닌 의과대학을 군이 운영하고 있어 제복 착용이 필수였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면접조사가 집행된 이후 탕은 샌프란시스코 영사관으로 숨어들었다.

미국은 지난 5월 29일 인민해방군과 연계된 대학 소속 중국인 학생·연구원에 대해 “전통적인 방식을 벗어난 지식재산권 수집가로 활동할 위험이 높다”며 입국을 금지한 바 있다.

지난 6월 미국 법무부는 의학 연구물을 소지하고 중국으로 출국하려던 중국 인민해방군 장교를 체포한 바 있다. 그가 미국 비자를 신청할 당시 기재했던 중국군 내 지위와 그의 실제 계급이 달랐다고 FBI는 기소장에 기재했다.

AP통신에 따르면 FBI는 최근 미국 내 25개 이상의 도시에서 중국군과 연계된 것으로 의심되는 비자 소지자들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진행해 왔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 사안과 관련해 전날인 23일 미국이 “정치적 탄압”을 하고 있다면서도 외교관들이 탕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왕 대변인은 “우리는 미국이 자국 내 중국 학자와 학생들을 제한하고 괴롭히고 단속하는 데 어떤 변명도 사용하지 말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미 법무부는 또 이날 가짜 컨설팅 회사를 차린 뒤 미 정부와 군 직원들로부터 정보를 캐내 온 싱가포르인 남성 ‘딕슨 여’가 중국 정보 당국의 불법 요원으로 일해왔다는 혐의를 인정했다고 밝혔다.

여에 대한 선고 공판은 오는 10월 열릴 예정이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