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잡지 플레이보이, 코로나19로 67년만에 인쇄판 발행 중단

성인잡지 플레이보이, 코로나19로 67년만에 인쇄판 발행 중단

강경민 기자
입력 2020-03-19 15:53
업데이트 2020-03-19 15: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플레이보이 창간호(1953년 12월)에 커버 걸로 등장한 메릴린 먼로. 플레이보이 자료사진
플레이보이 창간호(1953년 12월)에 커버 걸로 등장한 메릴린 먼로.
플레이보이 자료사진
미국 성인잡지의 대명사로 통하던 플레이보이가 18일(현지시간) 전 세계적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팬데믹(대유행)에 1953년부터 시작된 인쇄판 발행을 67년 만에 중단하기로 했다고 미 일간 USA투데이가 이날 전했다.

벤 콘 플레이보이 최고경영자(CEO)는 언론에 보낸 공개 서한에서 “코로나 19의 대유행으로 인해 지난주 콘텐츠 제작과 공급망에 가해진 혼란이 점점 더 명확해지고 있다. 우리 내부적으로 해왔던 논의를 가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잡지는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무료 인터넷 성인물 범람과 디지털시대 인쇄매체 쇠락으로 오프라인 잡지 발행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했었다.

그 결과 2017년에는 월간지를 격월간지로 전환했고 2019년에는 계간으로 바뀌었다.

콘은 “이번 주 가판대에 깔리는 2020 봄호가 올해 미국 내에서 마지막 인쇄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플레이보이는 콘텐츠를 ‘디지털 퍼스트 출판’ 일정에 따라 맞출 계획이다. 내년 봄에는 특별판 인쇄를 희망하고 있다.

콘은 “인쇄판은 우리가 일을 시작한 방식이었고 항상 우리 존재의 일부였다. 지난 66년간 우리는 잡지 그 이상이 됐다. 그러나 때때로 당신은 미래를 위해 과거를 흘러가게 내버려 둬야 할 때도 있는 법”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