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韓 코로나 투명조치”호평…입국 제한 근거 작용 ‘양날의 검’

해외 “韓 코로나 투명조치”호평…입국 제한 근거 작용 ‘양날의 검’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3-02 22:14
업데이트 2020-03-03 0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국군간호사관학교 신임 장교들이 2일 대전광역시 국군간호사관학교에서 대구 국군병원으로 파견을 가기 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한 방호복 착용 교육을 받고 있다. 1일자로 소위로 임관한 간호장교 75명은 3일 임관식 후 첫 부임지로 대구지역 현장에 투입된다. 2020. 3.2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국군간호사관학교 신임 장교들이 2일 대전광역시 국군간호사관학교에서 대구 국군병원으로 파견을 가기 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한 방호복 착용 교육을 받고 있다.
1일자로 소위로 임관한 간호장교 75명은 3일 임관식 후 첫 부임지로 대구지역 현장에 투입된다. 2020. 3.2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한국 정부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환자 폭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투명성에 기반한 대처 방식에 대해서는 해외에서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신속한 검진이 가능한 선진 의료 기술과 모든 정보를 낱낱이 공개하는 시스템 덕분에 위기 대응이 빠르다는 칭찬이다. 다만 높은 투명성은 ‘양날의 검’이 되기도 했다. 여러 국가가 한국발 입국을 제한하는 근거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美, 투명성 믿고 여행금지서 마무리 시사

앨릭스 에이자 미국 보건복지부(HHS) 장관은 1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선데이’ 인터뷰에서 “한국과 이탈리아는 선진화된 공중 보건 시스템을 갖고 있다. 두 나라는 투명한 리더십으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 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중국처럼 전면 입국제한을 검토했으나 한국 정부의 투명성을 믿고 대구에 대해서만 여행 금지를 내리는 선에서 마무리했다고 설명했다.

●호주 “韓, 中·이란보다 나은 의료시스템”

이날 호주의 피터 더튼 내무장관도 현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란에는 입국 금지 조치를 내렸음에도 더 많은 확진환자가 나온 한국에는 왜 여행경보만 발령했느냐’는 질문에 “한국은 (중국이나 이란보다) 더 나은 의료시스템을 갖고 있고 정기적으로 (확진환자 등) 수치 보고를 내고 있다. 이것이 중요한 차이”라고 지적했다.

독일의 주간지 슈피겔은 지난달 29일 코로나19와 관련, 한국은 ‘단호한 투명성’을 보여 주고 있다는 기사를 실었다. 빠른 검진을 위한 ‘드라이브 스루’ 진료소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대단히 상세한 내용”의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소개하고 “한국 정부가 투명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접근 방식은 전 세계의 의료진에게 바이러스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자세한 정보가 국익엔 불리’ 지적도

다만 한국 정부의 ‘투명한 소통 노력’이 전 세계 80여개국의 입국 금지·제한 등을 불러 왔다는 지적도 있다. 확진환자 급증에 관한 상세하고 자세한 정보가 국익에는 불리하게 작용할 때도 있다는 것이다. 슈피겔은 “한국처럼 정보를 포괄적으로 공개하는 방식이 모든 나라에서 통하는 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20-03-03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