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12년만의 최대폭 요금인상…가입자 원성에도 주가 급등

넷플릭스 12년만의 최대폭 요금인상…가입자 원성에도 주가 급등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1-16 10:42
업데이트 2019-01-16 1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넷플릭스. 로이터 연합뉴스
넷플릭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전역에 5천800만 명의 가입자를 둔 최대 비디오 스트리밍 기업 넷플릭스(Netflix)가 창업 12년 만에 가장 큰 폭인 13∼18%의 요금 인상안을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가입자들은 요금 인상에 비명을 질렀지만, 이날 뉴욕증시(나스닥)에서 넷플릭스 주가는 장중 6% 가까이 급등했다.

넷플릭스는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구글과 함께 시장을 주도하는 우량 기술주 종목을 일컫는 ‘팡(FAANG) 주식’ 중 하나다.

넷플릭스는 HD(고해상도) 스트리밍을 가정 내 두 대의 인터넷 기기에 한해 시청할 수 있는 월 11달러(1만2천360원)짜리 요금제를 월 13달러(1만4천610원)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그래도 경쟁사인 HBO의 월간 스트리밍 요금인 15달러보다 싼 편이다.

방송가에서는 넷플릭스가 가입 요금을 올림으로써 추가 재원을 확보해 아마존, 디즈니, AT&T(타임워너) 등의 경쟁자들과 오리지널 시리즈(콘텐츠 공급자 이름을 건 프로그램)를 놓고 한판 대결을 벌일 것으로 관측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는 공전의 히트를 친 ‘하우스 오브 카드’(House of Cards)를 비롯해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Orange is The New Black), ‘기묘한 이야기’로 번역된 ‘스트레인저 씽스’(Stranger Things), ‘더 크라운’(The Crown)과 최근작 ‘버드 박스’(Bird Box) 등이 있다.

넷플릭스가 요금을 올린 것은 이번이 네 번째로 2017년 말 이후 불과 1년여 만이다.

넷플릭스는 8달러짜리 가장 싼 기본옵션을 9달러로 올린다. 프리미엄 플랜은 14달러에서 16달러로 인상된다.

넷플릭스의 요금 인상은 미국 이외에 40여 개 북중미·남미 국가에도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이외 가입자 수는 7천900만 명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