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중단 소식을 주요 외신들이 10일 서울발로 신속하게 보도하며 파장을 예의 주시했다. 특히 강력한 대북 제재에 미적지근한 중국 측의 관영 언론들은 ‘남북 협력의 상징’이 끝났다고 전했다. 일본 언론과 AP, AFP도 한국 정부의 발표를 한 줄짜리 긴급 기사로 즉시 보도했다. 외신들은 개성공단이 남북한 경제협력의 ‘마지막 통로’였다는 점에 주목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오후 4시 25분쯤 ‘개성 공단 폐쇄’라는 제목의 긴급 뉴스를 내보냈으나 이후 한국 정부의 브리핑을 듣고 ‘완전 가동 중단’으로 정정해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개성공단 중단 결정은 마지막 남은 남북 경협의 상징을 종결시킨 것”이라면서 “한국은 개성공단을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의 자금줄로 인식했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은 또 “개성공단은 김대중 한국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000년 정상회담에서 건설을 합의한 역사적 산물”이라고 평가했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도 “한국이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로켓(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11일부터 개성공단 인력을 철수시키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개성공단 중단은 엄격한 대북 제재를 추진하려는 한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 표시”라면서 “2003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개성공단은 그동안 남북 긴장의 ‘강압 밸브’이자 ‘온도계’였다”고 전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한국은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을 단념할 때까지 개성공단 중단 방침을 유지할 것”이라며 “북한이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는다면 공단이 폐쇄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의 중단은 한반도의 긴장을 추가로 악화시킬 것이 분명하다”고 분석했다. 아사히신문은 4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한 북한에 대해 한국 정부는 엄격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한국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국제사회를 향해 엄격한 대북 압박 조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요구하는 목적도 있다”고 전했다. 마이니치신문도 개성공단의 현황을 소개하며 국제사회를 향한 압박이라고 전했다.
AP는 “개성공단은 양국의 마지막 주요 경제 프로젝트”라며 “그동안 남북한 갈등으로 다른 남북 협력 프로젝트가 중단되는 중에도 개성공단은 유지돼 왔다”고 설명했다. 로이터도 “개성공단은 남북한 협력의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라며 개성공단 현황 등을 소개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오후 4시 25분쯤 ‘개성 공단 폐쇄’라는 제목의 긴급 뉴스를 내보냈으나 이후 한국 정부의 브리핑을 듣고 ‘완전 가동 중단’으로 정정해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개성공단 중단 결정은 마지막 남은 남북 경협의 상징을 종결시킨 것”이라면서 “한국은 개성공단을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의 자금줄로 인식했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은 또 “개성공단은 김대중 한국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000년 정상회담에서 건설을 합의한 역사적 산물”이라고 평가했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도 “한국이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로켓(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11일부터 개성공단 인력을 철수시키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개성공단 중단은 엄격한 대북 제재를 추진하려는 한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 표시”라면서 “2003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개성공단은 그동안 남북 긴장의 ‘강압 밸브’이자 ‘온도계’였다”고 전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한국은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을 단념할 때까지 개성공단 중단 방침을 유지할 것”이라며 “북한이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는다면 공단이 폐쇄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의 중단은 한반도의 긴장을 추가로 악화시킬 것이 분명하다”고 분석했다. 아사히신문은 4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한 북한에 대해 한국 정부는 엄격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한국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국제사회를 향해 엄격한 대북 압박 조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요구하는 목적도 있다”고 전했다. 마이니치신문도 개성공단의 현황을 소개하며 국제사회를 향한 압박이라고 전했다.
AP는 “개성공단은 양국의 마지막 주요 경제 프로젝트”라며 “그동안 남북한 갈등으로 다른 남북 협력 프로젝트가 중단되는 중에도 개성공단은 유지돼 왔다”고 설명했다. 로이터도 “개성공단은 남북한 협력의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라며 개성공단 현황 등을 소개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