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고노 담화 검증 항의 시위한 판 바흐튼동크

<인터뷰> 고노 담화 검증 항의 시위한 판 바흐튼동크

입력 2014-07-09 00:00
업데이트 2014-07-09 15: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일본 고노 담화 검증 항의하는 네덜란드 NGO 대표
일본 고노 담화 검증 항의하는 네덜란드 NGO 대표 일본군 피해 배상을 요구하는 네덜란드 비정부기구(NGO)인 ’일본명예부채재단’(Foundation of Japanese Honorary Debts) 얀 판 바흐튼동크 재단 대표가 8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 일본 대사관 앞에서 고노 담화 검증에 항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현지시간) 네덜란드에서 일본의 고노(河野)담화 검증 항의 시위를 이끈 얀 판 바흐튼동크(75) ‘일본명예부채재단’(Foundation of Japanese Honorary Debts) 대표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포함해 과거사를 직시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네덜란드 비정부기구(NGO)인 ‘일본명예부채재단’은 1994년부터 매달 한 번씩 헤이그에 있는 주네덜란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 정부에 2차 세계대전 전쟁범죄를 사죄하고 배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판 바흐튼동크 재단 대표는 이날 고노 담화 검증 항의 시위 후 이런 내용이 담긴 성명서를 주네덜란드 일본대사에게 전달했다.

다음은 판 바흐튼동크 대표와 일문일답.

-- 일본 대사에게 항의 성명서를 전달하면서 어떤 대화를 나눴나

▲ 일본 대사는 고노 담화가 한국과 외교적 협상을 통해 작성됐다고 말했는데, 나는 이를 믿을 수 없다고 답했다. 일본이 외교적 관례를 깨고 이를 발표해 한국과 일본 관계가 불행해졌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고노 담화를 수정할 뜻이 없다고 하면서도 이를 검증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 고노 담화 검증에 대한 재단의 의견은

▲ 일본은 과거를 직시하고 인정해야 한다. 일본이 고노 담화를 수정하면 일본군 피해자와 그 후손은 일본의 진실성을 받아들일 수 없다. 일본이 2차 세계대전 사실을 조사하겠다면 유엔인권위원회의 후원하에 역사학자와 법률가가 독립적으로 조사해야 할 것이다.

-- 고노 담화 검증 후 네덜란드 정부는 어떤 행동을 취했나

▲ 일본의 고노 담화 검증 결과가 발표되고 나서 ‘일본명예부채재단’은 지난 2일 네덜란드 총리에게 검증 결과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일본 총리에게 항의해 달라고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 그런데 네덜란드 외교부가 고노 담화 검증 관련 성명을 발표하지 않는 등 강하게 대응하지 않아서 실망했다.

-- 네덜란드에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있는데 특별히 한국의 위안부 피해자에게 하고 싶은 말은

▲ 네덜란드뿐 아니라 한국도 똑같은 피해자다. 위안부의 국적이 한국이나 대만, 중국, 일본, 네덜란드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모든 위안부로 끌려간 여성들이 고통을 받았다. 일본군이 조직적으로 위안부를 동원했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한 책임이 있다.

-- ‘일본명예부채재단’이 매달 한차례 시위를 벌이고 있는데 일본의 반응은

▲ ‘일본명예부채재단’은 일본군 점령 피해자와 그 가족들로 구성된 비정부기구다. 재단은 1994년부터 매달 두 번째 화요일에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시위를 하는 날이면 대사관 사무실은 커튼으로 가려지고 대사관 직원도 일찍 점심을 먹으러 나가 버리고는 한다.

-- 대표가 2차 대전 때 일본군에 본 피해는

▲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2차 대전 당시 네덜란드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에서 붙잡혀 포로수용소에서 간첩 혐의로 처형됐다. 형도 수용소에서 사고로 숨졌으며 어머니와 나만 전후에 돌아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