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日 제치고 세계 최대 로봇구매국 등극 < FT>

中, 日 제치고 세계 최대 로봇구매국 등극 < FT>

입력 2014-06-02 00:00
업데이트 2014-06-02 09: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구매국 자리에 올랐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이 2일 보도했다.

신문은 독일에 있는 국제로봇협회(IFR)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전 세계에서 팔린 산업용 로봇 5대 중 1대를 중국이 구매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IFR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전년보다 60% 가까이 증가한 3만 6천560대의 로봇을 구매해 2만 6천15대에 그친 일본을 제치고 처음으로 세계 최대 로봇 구매국으로 떠올랐다. 3위는 2만 3천679대를 구매한 미국이었다.

스위스의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ABB의 페르 베가르드 네르세스 책임자는 “중국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로봇 시장”이라며 “수년 후에는 2, 3위를 합친 것보다 큰 시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이 이처럼 산업용 로봇을 다량 구매하는 것은 갈수록 치솟는 임금 비용과 점점 치열해지는 다른 신흥국들과의 생산성 경쟁 때문이라고 FT는 분석했다.

중국의 로봇 구매량은 2008~2013년 사이 매년 평균 36%씩 증가했으며, 성장 잠재력도 큰 상황이다.

최근 들어 로봇 구매량이 늘긴 했지만 2012년 기준으로 중국의 로봇 대수는 제조업 종사자 1만 명당 23대에 불과해 한국의 1만 명 당 396대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체 로봇 대수도 일본이 31만여 대로 여전히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지만 중국은 9만 6천대에 불과하다.

중국에서의 로봇 수요 증가는 주로 대형 다국적 제조업체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자동차 부문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세계 최대 규모인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국가 전체 산업용 로봇 수요의 6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센서라든가 수력학, 기동성,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용 로봇의 기능이 더욱 섬세하고 유연해지면서 이용되는 분야도 확대되는 양상이다.

아르투로 바론첼리 IFR 회장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용 로봇이 사용되는 분야가 자동차나 반도체 제조 이외의 분야로까지 확대되면서 중국에서의 성장세도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스위스의 ABB나 일본의 화낙, 독일의 쿠카같은 로봇 생산업체들도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추세라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