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베트남, 여객기 실종 책임 놓고 ‘설전’

말레이-·베트남, 여객기 실종 책임 놓고 ‘설전’

입력 2014-05-06 00:00
업데이트 2014-05-06 14: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말레이시아가 최근 여객기 실종사고와 관련해 베트남 책임론을 제기한 데 대해 베트남 당국이 반격에 나서는 등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베트남 민항청(CAAV)은 자국 관제소가 말레이시아 실종 여객기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늑장대응, 국제협약을 어겼다는 말레이시아 당국의 비난을 정면 반박했다고 베트남 언론들이 6일 전했다.

라이 쑤언 타잉 CAAV 청장은 특히 말레이시아 민항국(DCA)과도 접촉해 직접 해명을 들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타잉 청장은 아울러 말레이시아 당국으로부터 사전에 아무런 입장도 전달받지 못하고 언론을 통해 이런 사실을 알게 됐다며 유감을 표시했다.

앞서 말레이시아의 한 언론은 DCA를 인용, 사고 여객기가 지난 3월8일 레이더에서 사라진 뒤 무려 17분이 지나서야 베트남 관제소가 실종기 행방을 물어왔다며 베트남 당국의 국제협약 위반을 거론했다.

DCA는 당일 오전 1시19분(현지시간) 쿠알라룸푸르 관제소가 해당 여객기에 호찌민 관제소의 주파수에 맞추라고 지시했으나 호찌민 관제소는 1시38분에야 해당 여객기의 행방을 물어왔다고 공개한 것으로 이 매체는 전했다.

다툭 아자루딘 DCA 국장은 그러면서 국제협약상 관제소가 5분 이상 기다리지 말고 실종기와 교신을 해야 한다며 베트남 책임론을 거듭 주장했다.

아울러 실종 여객기가 일단 남중국해상의 ‘지정 경유점’을 통과하면 베트남 관제소가 공식적인 통제 책임을 지게 된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타잉 CAAV청장은 사고 항공사 측이 해당 자료를 전달할 당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당국 모두 사고기가 ‘지정 경유점’을 통과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반박했다. 타잉 청장은 특히 말레이시아 측이 실종 여객기의 대략적인 위치를 통보할 때는 여객기 신호가 이미 사라진 상태였다면서 따라서 베트남이 뒤늦게 대응했다고 비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