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vs삼성 소송전에 군소 경쟁자만 웃음”

“애플vs삼성 소송전에 군소 경쟁자만 웃음”

입력 2014-05-01 00:00
업데이트 2014-05-01 15: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폰 시장을 지배하는 애플과 삼성전자가 법정 공방을 벌이는 사이 군소 경쟁자들은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애플-삼성 소송전의 승자는? 그들의 라이벌들’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양측 변호사들이 과거의 수익을 놓고 논쟁하는 동안 라이벌들은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애플-삼성의 독점 체제를 깨트리고자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조사기관인 스트레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2년 전 애플과 삼성은 세계 스마트폰 선적량의 55% 이상을 차지했지만, 지난 1분기에는 47%로 떨어졌다.

올해 1분기 삼성의 스마트폰 점유율은 지난해 같은기간 32.4%보다 하락한 31.2%로, 분기별 점유율이 전년 대비 하락한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애플의 점유율도 같은 기간 17.5%에서 15.3%로 하락했다.

WSJ는 “두 회사가 저가폰을 내세우는 중국 등 라이벌 업체에 시장 점유율을 잃고 있다”면서 후발 업체들의 시장 공략을 소개했다.

최근 소프트웨어 업체인 마이크로소프트가 노키아 휴대전화 부문을 인수해 스마트폰 시장 공략을 준비하고 있고, 중국의 최대 휴대전화 생산업체 중 한 곳인 레노버는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를 준비 중이다.

중국의 저가폰 생산업체 샤오미는 올해 인도, 러시아, 터키 등 이머징 마켓 10곳에 진출할 예정이다.

이처럼 경쟁은 치열해지는 반면, 시장 성장은 느려지는 추세다. 지난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38% 성장했지만, 올해는 절반 수준에 그칠 전망이라고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IDC는 밝혔다.

WSJ는 시장의 변화나 하드웨어 발전 속도 등과 비교했을 때 애플-삼성 소송전은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두 회사가 법적 공방으로 벌어들일 수 있는 돈은 시장 점유율 약화에 따른 수익 변화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제1차 ‘애플 대 삼성’ 소송 1심에서 삼성이 애플에 9억3천만 달러를 배상하라는 평결이 나왔지만, 이는 애플이 한 주간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조금 많은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투자은행 파이퍼 재프레이의 애널리스트 진 문스터는 이들의 소송전에 대해 “시간 낭비”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