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키의 조상 인형’ 저절로 움직여?…‘처키의 신부’ 인형까지 덩달아 화제

‘처키의 조상 인형’ 저절로 움직여?…‘처키의 신부’ 인형까지 덩달아 화제

입력 2014-03-22 00:00
업데이트 2014-03-22 1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처키의 조상인형.
처키의 조상인형.


‘처키 조상인형’

처키의 조상인형처럼 보이는 장난감이 공개돼 네티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처키의 조상 인형’이라는 제목으로 한 장의 사진이 최근 올라왔다.

공개된 사진 속 장난감은 두 팔과 두 다리로 기어가는 아기 모양 인형으로 태엽 장치와 톱니바퀴가 있어 기어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세월의 흔적으로 인해서인지 외관이 대부분 사라지고 발과 손 일부, 그리고 민머리 얼굴만 남아있다. 무표정한 가운데 은은한 미소를 띠는 얼굴은 오싹하게 느낌까지 준다.

국립미국역사박물관에 올라있는 이 인형은 조지 펨버튼 클라크라는 사람이 만들었으며 1871년 특허를 받았다.

정식 명칭은 ‘자연스럽게 기는 아기인형’ 으로 알려졌다.

‘기어다니는 아기 인형’ 특허 출원 문서
‘기어다니는 아기 인형’ 특허 출원 문서


지금은 오싹하게 보이지만 원형은 현대에 쉽게 볼 수 있는 움직이는 아기 인형처럼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외형이 손상되면서 내부의 기계 장치가 밖으로 드러나면서 기괴한 느낌을 주게 됐다.

국립미국역사박물관에는 조지 클라크의 인형 외에도 또 다른 ‘기어다니는 인형’ 전시물이 있다.

기어다니는 인형. / 국립미국역사박물관
기어다니는 인형. / 국립미국역사박물관


빨간색 리본을 두른 레이스 원피스를 입은 이 여자아이 인형은 조지 클라크의 인형보다 원형이 잘 보존돼 있다. 그러나 이 인형 역시 다리 부분이 없어져 여전히 오묘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이 인형은 내부의 스프링 부품으로 두 팔이 기어가는 움직임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옷 속에 감춰진 바퀴로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처키의 조상 인형 소식을 접한 네티즌은 “처키의 조상 인형, 어떤 원리로 움직이는 걸까?” “처키의 조상 인형, 지금은 단순해보여도 그 당시에 이거 생각한 사람 정말 천재인 듯” “처키의 조상 인형, 실제 움직이는 모습 보면 정말 섬뜩할 듯” “처키의 조상 인형, 지금은 저렇게 오싹해보여도 처음 나왔을 때 굉장히 비쌌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