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시리아 결의안’ 논의못해…미·중·러 입장차

안보리 ‘시리아 결의안’ 논의못해…미·중·러 입장차

입력 2013-08-29 00:00
업데이트 2013-08-29 04: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즉각 행동개시” 제안에 중·러 회의장 나와서방, 결의안 없이 독자 군사개입 ‘코소보 모델’ 가능성

‘시리아 사태’를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정보장이사회가 28일(현지시간) 미국과 중국·러시아간 입장 차이로 무산됐다.

러시아측 대표는 이날 안보리 회의장을 나온 뒤 “오늘 안보리 회의는 (아무런 성과없이) 끝났다”면서 “특히 러시아와 중국 입장에서는 회의에서 아무런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유엔 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이 참여한 가운데 비공개로 열린 이날 회의 도중 러시아와 중국 대표는 미국측의 입장에 반대해 회의장을 박차고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사만다 파워 주유엔 미국대사가 시리아에 대한 즉각적인 행동 개시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한 직후 알렉산더 판킨 주유엔 러시아 차석대사와 왕민 중국 대표가 이에 반발, 회의장을 빠져나왔다고 유엔 소식통들은 전했다. 회의가 시작된지 1시간만이다.

당초 이날 회의에서는 시리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군사개입을 허용한다는 내용으로 영국측이 작성한 결의안 초안의 채택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었다.

특히 미국과 영국, 프랑스는 이날까지 결의안 채택을 마무리한다는 강경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아 시리아에 대한 군사개입에 반대하고 있어 결의안 채택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이에 따라 1999년 ‘코소보 사태’ 때처럼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유엔 안보리의 결의안 채택없이 독자적으로 시리아에 군사개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메리 하프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러시아 등이 반대하는 한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더이상 의미있는 조치가 이뤄지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시리아의 상황이 아주 심각한 만큼 무엇인가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게 아주 솔직한 심정”이라며 여전히 즉각적인 군사개입에 무게를 뒀다.

다만 미국의 우방인 영국이 시리아 내전 당시 화학무기가 사용됐는지를 파악하고 있는 유엔 조사단의 활동이 끝나기 전까지는 시리아에 대한 즉각적인 군사개입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주목된다.

영국 정부는 이날 의회에 제출한 동의안을 통해 유엔 조사단의 활동이 종료될 때까지 시리아에 군사개입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이날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과 만나 “유엔 조사단의 보고서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