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美 섀플리·로스 공동수상

노벨경제학상 美 섀플리·로스 공동수상

입력 2012-10-16 00:00
업데이트 2012-10-16 0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정분배·시장설계 분야 기여

올해 노벨 경제학상은 올해 89세의 고령인 로이드 섀플리(왼쪽) 미국 캘리포니아대(UCLA) 명예교수와 후학인 앨빈 로스(오른쪽·60) 하버드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5일 “안정적 분배 및 시장 설계의 실제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두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올해 경제학상은 가장 핵심적인 경제 문제, 즉 다른 주체들이 어떻게 하면 잘 연결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의 연구는 취업이나 결혼 등 다수의 플레이어가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최적의 선택을 하느냐에 대한 이론과 실증에 관한 것이다.

섀플리 교수가 이론의 토대를 제공하고 로스 교수가 이를 발전, 현실에 적용시켰다. 두 사람은 각자 따로 연구했으나 분배와 설계 이론을 경제공학적 차원으로 발전시켰다. 그 대표적 예가 2003년 로스 교수의 제안으로 바뀐 뉴욕시 공립학교 배정 제도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도 대학 입시철만 되면 수험생들이 치열한 눈치 싸움을 벌인다. 종전까지 뉴욕시의 공립학교 배정은 학생이 1~5순위 지망학교를 써내면 학교가 이를 보고 학생을 고르는 식이었다. 이렇게 되면 어떤 학생은 여러 학교에서 입학 제의를 받기도 하고 어떤 학생은 모든 학교에서 떨어진다. 한 학생이 두 학교에 다닐 수는 없는 만큼 비효율적인 자원분배가 일어나는 것이다. 로스 교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다.

한 학생이 가장 가고 싶은 한 학교에만 지원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학교는 일단 합격자를 뽑고 여기서 떨어진 학생을 모아 다시 한 학교씩만 지원토록 한다. 이런 방법으로 마지막 한 학생이 합격할 때까지 계속 합격자를 추려 나가게 된다. ‘안정적 배분’이 이뤄지는 셈이다.

로스 교수는 ‘뉴잉글랜드 장기이식 프로그램’도 직접 만들었다. 같은 방식으로 혈액형이 달라 배우자에게 장기를 기증할 수 없는 부부들이 장기를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런 현실 응용에 기초가 된 이론이 바로 새플리 교수의 ‘섀플리 값’이다.

섀플리 교수는 게임이론에 정통한 수학자이자 경제학자다.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주인공인 천재 수학자 존 내쉬의 친구이기도 하다. 섀플리 교수를 지도교수로 모셨던 김영세 연대 경제학과 교수는 “섀플리 교수는 내쉬 교수와 더불어 ‘게임이론의 1세대’”라며 “학생들의 작은 질문도 소홀히 하지 않았고 매우 소탈했다.”고 전했다.

그의 이름을 딴 ‘섀플리 값’은 ‘협력적 게임이론’에 입각한 가장 합리적 분배이론의 근거라고 평가받는다.

2007년 90세에 매커니즘 디자인 이론의 기초를 세운 공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레오니드 후르비츠 당시 미국 미네소타대 교수 다음으로 최고령 수상 기록을 세웠다. 유명 천문학자인 고(故) 할로 섀플리의 아들이기도 한 그는 1943년 미 공군 하사로 중국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미 국방에 관한 예산과 계획을 주로 연구하는 랜드연구소에서 1954년부터 1981년까지 27년간 근무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10-16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