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전자제국’의 굴욕적 몰락, 왜

日 ‘전자제국’의 굴욕적 몰락, 왜

입력 2012-10-12 00:00
업데이트 2012-10-12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블룸버그통신 분석

2차 세계대전 패전국 일본을 경제대국으로 부활시킨 전자산업의 트로이카 소니·파나소닉·샤프가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제품 브랜드에 프리미엄이 붙을 정도로 명성을 누렸던 이들 기업의 현재 시가총액 합계는 290억 달러(약 32조원). 1990년대 후반 워크맨으로 전성기를 누렸던 소니의 당시 시가총액(1200억 달러)의 25% 선에도 못 미친다. ‘굴욕’을 넘어 ‘몰락’이라는 표현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블룸버그통신이 10일(현지시간) 일본 전자산업의 부진을 한국 전자업체의 강점과 조목조목 비교한 기사를 실어 눈길을 끌고 있다. 블룸버그는 먼저 일본 전자기업들이 몰락하게 된 주된 이유로 지나친 내수 집중과 인구감소를 꼽았다. 세 기업의 지난해 국내 매출 비중은 각각 32%, 48%, 53%에 달했다. 17%를 기록한 삼성과 LG의 두 배를 넘는다. 씨티그룹연구소 일본지사는 “이들이 거대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성장을 지속하는 동안 반대로 생산과 개발, 판매, 관리 같은 기술을 세계화하는 데 무뎌졌다.”고 분석했다. 일본 정부는 국내 인구가 2008년 1억 2780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2050년에는 1억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 규모는 여전히 세계 3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급속한 인구 감소로 내수에만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선진국에 대한 과도한 판매 집중과 국내 생산체제 고수도 약점으로 꼽힌다. 세 기업의 지난해 전체 매출의 70%는 일본과 북미, 유럽에서 나왔다. 반면 삼성과 LG는 북미와 유럽에서 각각 52%, 35%의 수익만 올렸다. 한국 기업이 비용 절감을 위해 생산기지를 중국으로 옮기는 동안 일본 기업은 고집스럽게 국내 생산을 추구했다. 이는 원가상승을 불러왔고 곧바로 판매량과 시장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졌다. 컨설팅업체 매킨지는 “한국이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동안 일본은 자국의 제조업에 대한 과신을 바탕으로 수요가 줄어드는 선진국에 집중한 것이 성패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자국 업체 간 과도한 경쟁도 약점이다. 소니와 삼성을 비교한 책을 출판했던 장세진 싱가포르국립대 석좌교수는 이를 “일본에는 9개의 TV업체, 10개의 휴대전화업체, 10곳의 컴퓨터 회사가 있지만 한국에는 삼성과 LG 2곳이 있을 뿐이다.”라고 압축해서 표현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소비시장이 위축되면서 투자가들이 안전자산인 엔화에 투자하면서 엔고를 유발, 일본 기업들이 수출경쟁력을 상실한 것도 몰락의 원인으로 지적됐다. 세계 최고 기술전략가로 손꼽히는 피터 코헨은 일본 전자산업의 몰락에 대해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렸던 소니가 애플리케이션 같은 소프트웨어 대신 하드웨어에 집중하면서 ‘혁신’의 타이틀을 애플과 삼성에 넘겨주면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2-10-12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