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내년 핵 보유 가능” 네타냐후 유엔 총회서 연설

“이란, 내년 핵 보유 가능” 네타냐후 유엔 총회서 연설

입력 2012-09-29 00:00
업데이트 2012-09-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레드라인 필수” 오바마 압박

“내년 여름 이란의 핵폭탄을 막으려면 레드라인(금지선)이 필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레드라인 설정’을 놓고 대선을 40여일 앞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압박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27일(현지시간) 뉴욕 유엔총회에서 “이란이 내년 여름까지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농축 우라늄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평화적으로 이란의 핵무기 보유를 막을 방법은 레드라인 설정뿐”이라고 주장했다.

네타냐후의 도발적인 연설은 대중의 위기 의식을 자극, 미국이 이란에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여론을 부추겨 레드라인에 반대하는 오바마에게는 역풍이 될 수 있다. 미국과 이란 지도부에는 ‘후퇴 불가’라는 의지를 보여 줬다는 분석이다.

그는 이날 총회장에 불이 붙은 핵폭탄 모양의 도표까지 들고 나와 보여 주며 “이란은 이미 핵무기 제조의 첫 단계인 70% 수준에 도달했고 두 번째 단계(90%)에 진입했다.”면서 “핵무기 제조 시점이 몇 주밖에 남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주머니에서 매직펜을 꺼내 2단계 바로 밑에 붉은 선을 그어 극적인 효과를 더하며 “이란이 두 번째 단계의 핵농축을 마치기 전에 레드라인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레드라인이 전쟁을 촉발할 수 있다는 미국 등 국제사회의 우려를 의식, “레드라인은 전쟁을 일으키는 게 아니라 막아 준다. 핵무장한 이란만큼 세계를 위태롭게 하는 건 없다.”고 역설했다.

그의 도표를 본 일부 외교관들은 당혹해하는 기색이 역력했으며, 이 모습은 인터넷에 삽시간에 퍼져 이스라엘 정계에서도 찬반 논란이 일었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전했다. 그간 네타냐후 총리는 직접적으로 이란에 대한 공격을 언급하지 않고 오바마에 대해서도 달래는 듯한 톤을 유지해 왔다. 그런 그가 의도한 메시지는 ‘이란이 물러서지 않고 미국이 행동하지 않으면, 이스라엘이 나서겠다.’는 뜻이라고 WP는 지적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를 미국을 움직이게 하려는 엄포일 뿐이라고 해석했다.

이에 대해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은 30일 방송될 CNN 파리드 자카리아와의 인터뷰에서 이스라엘의 위협과 미국의 핵개발 포기 요구가 자국 정책에 아무 영향도 주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2-09-29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