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EU 선박 보험 금지조치에 ‘발동동’

이란, EU 선박 보험 금지조치에 ‘발동동’

입력 2012-07-10 00:00
업데이트 2012-07-10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럽연합(EU)이 지난 1일부터 이란산 원유 금수는 물론 이를 싣고 가는 선박에 대한 보험 제공도 금지하면서 원유 수출에 발목이 잡힌 이란이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전 세계 선박 보험의 90%를 차지하는 EU 27개국의 보험 제공 중단에 따라 비(非)EU 회원국은 물론 특히 이란산 원유의 70%를 수입하는 아시아 국가들도 자체적으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앞서 일본은 지난달 이란산 원유를 실은 유조선에 대해 유럽 보험회사 대신 자국 정부가 선박 보험을 제공하는 내용의 특별 법안을 통과시켰다.

다른 주요 수입국들도 대체 방안을 마련하라고 이란을 압박하는 가운데 중국과 인도는 자국 국적 선박으로 원유를 수송해주겠다는 이란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우리나라도 이란의 이 같은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이런 방법은 중국과 운송 비용 부담 논란을 발생시킨 것은 물론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어 완전한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

유럽 전문가들은 또 국영이란유조선회사(NITC)가 10만~30만톤 규모의 유조선 40대를 보유하고는 있지만 하루에 30만톤 이상 되는 용량에 대한 장거리 운송 능력은 없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이 NITC 선박 중 일부는 금수조치로 판매하지 못한 원유를 저장하느라 발이 묶여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란은 일단 민간 기업에 하청을 주는 방안을 포함, 내륙의 원유 저장 능력을 신속히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 중국에 초대형 유조선 12대 건조를 주문했으며 오는 12월께 첫 인도에 들어갈 예정이다.

그러나 선박 보험 금지가 원유 금수 조치 못지않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는 한 전문가는 “이런 해결책은 단기적으로는 문제를 풀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또 이란 보험사들이 NITC 선박과 외국 유조선에 선박 보험을 제공하겠다고 나섰지만 서구권의 한 전문가는 “이 회사들은 그 정도 규모의 자본을 갖추지 못했고 이란 정부도 지금까지는 이들을 공식 지원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이란 정부는 지난 5월에는 국영석유회사(NIOC)가 독점했던 원유 수출의 20%를 민간 수출업자에 위탁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또 지난달에는 기존 유조선의 이름을 바꿔 위장한 뒤 원유 수출을 시도하다 적발돼 국제적 망신을 당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