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北 미사일 발사 대비 비상태세 돌입

日, 北 미사일 발사 대비 비상태세 돌입

입력 2012-04-11 00:00
업데이트 2012-04-11 14: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리실, 위기관리센터에 대책실 설치

일본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하면서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11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위성이라고 부르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비해 오후부터 총리 관저 위기관리센터에 대책실을 설치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총리실은 10일 각료회의에서 방위상과 재무상 등 국가 안전보장회의 구성원들에게 북한이 위성 발사를 예고한 첫날인 12일 아침 7시부터 각 부처에 대기하며 만반의 준비를 하도록 지시했다.

자위대도 비상태세에 들어갔다. 스기모토 마사히코(杉本正彦) 해상막료장(해군 참모총장)은 10일 기자회견에서 “모든 사태를 상정해 적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최선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은 이미 북한의 미사일 궤도 영역인 동중국해와 한국의 동해 쪽에 해상배치형 요격 미사일인 SM3를 탑재한 이지스함 3척을 배치했다.

또 오키나와(沖繩)와 주변의 섬 4곳, 도쿄를 비롯한 수도권 3곳 등 모두 7곳에 지대공 유도탄인 패트리엇 미사일을 배치했다.

통합임무부대(합참)를 지휘하는 항공자위대의 사이토 하루카즈(薺藤治和) 항공총대사령관(공군 참모총장)은 지난 9일 다나카 나오키(田中直紀) 방위상에게 북한의 미사일 파편이 일본 영토에 떨어질 경우에 대비한 요격 태세가 완료됐다고 보고했다.

한편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는 10일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위성을 발사한다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포함한 국제 사회와 공조해가면서 후속 행동을 고려하겠다”고 밝혀, 추가 제재를 검토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