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정치권 부자증세 논란

프랑스 정치권 부자증세 논란

입력 2012-03-01 00:00
업데이트 2012-03-01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랑드 “세율 75%까지 인상”

‘부적절한 부(富)’를 겨냥한 프랑스 1위 대선주자인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후보의 ‘핵폭탄 공약’에 프랑스 부자들의 엑소더스 행렬이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올랑드 후보가 현재 41%인 부자 소득세율을 4분의3 수준인 7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부자 증세’ 안을 내놨기 때문이다. 이 틈을 타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이 이끄는 집권당 대중운동연합(UMP)을 비롯한 중도파와 우파가 “부자와의 전쟁을 선포하는 것”이라며 맹공을 퍼부으며 정치권은 부자 증세 논란에 휩싸였다.

프랑수아 미테랑 전 대통령 이후 17년 만에 사회당 재집권을 꿈꾸고 있는 올랑드는 27일(현지시간) 프랑스 TV에 출연해 “대선에서 승리하면 100만 유로(15억원) 이상의 소득에 대해 75%의 세금을 매기겠다.”고 밝혔다. 올랑드는 반대파의 공세에도 불구하고 29일 RTL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다시 “이 조치로 세금을 내는 사람은 3500명 정도지만 세수는 2억~3억 유로에 이른다.”면서 ‘부적절한 부’에 대한 과세 방침을 분명히 했다. 한 달 전에도 그는 15만 유로 이상의 소득자들에 대해 45%의 최고세율을 적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소득세가 높게 책정된 유럽 기준에서도 그가 내세운 세율은 최고 수준이다. 현재 유럽에서 가장 높은 스웨덴의 최고세율이 56.5%이고 영국은 50%, 독일은 47.5%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2등 주자였던 사르코지 대통령이 올랑드와의 지지율 격차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여론조사에 따르면 사르코지는 지난주 7% 포인트였던 올랑드와의 격차를 4.5% 포인트까지 바짝 따라잡았다. 1차 투표를 가정했을 때 올랑드가 31.5%, 사르코지가 27%의 지지율을 획득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2-03-01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