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시리아 결의안에 러·中 거부권 행사

안보리 시리아 결의안에 러·中 거부권 행사

입력 2012-02-04 00:00
업데이트 2012-02-05 09: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보리 상황 종합>>

4일(현지시간) 실시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對) 시리아 결의안 표결에서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이 거부권을 행사, 통과가 무산됐다.

이날 안보리 15개 이사국들은 시리아의 평화적 정권이양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최종 표결에 부쳤으나 13개국이 찬성한 반면 거부권을 가진 5개 상임이사국 가운데 러시아와 중국이 반대표를 던져 결국 결의안은 채택되지 않았다.

표결에 부쳐진 안은 애초 서방과 아랍국가들이 제출한 초안보다는 상당폭 완화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우려했던대로 러시아와 중국을 설득하지는 못했다.

이사국 대표들은 전날 비공개회의를 진행한 끝에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퇴진 요구나 시리아에 대한 무기 공급 중단 등의 조항은 넣지 않는 내용으로 결의안 문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져 이들 국가의 거부권 행사를 막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왔었다.

이 표결이 있기 하루 전인 3일 시리아의 반정부 시위 거점 도시 홈스에서 정부 군의 포 공격으로 수백명이 숨지는 등 시리아 유혈사태는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아 국제사회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영국에 본부를 둔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정부군의 박격포 공격으로 홈스에서 200여명이 숨지고 수백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이날 안보리 표결이 부결되자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의 비난이 쏟아져 나왔다.

수전 라이스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독재자들을 지원하는 표결에 역겨움을 느낀다”고 맹비난했으며 제라드 아르도 유엔주재 프랑스 대사도 “아사드 정권을 보호한 사람들은 역사가 가혹하게 심판할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 대사 피터 비티그는 “오늘 안보리는 그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면서 “시리아 국민들은 또다시 좌절하게 됐다”고 토로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성명을 내고 “결의안을 채택하지 못한 것은 시리아 및 중동 국민들, 또 민주주의와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실망스러운 일이 될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이날 러시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을 만난 뒤 “이 결의안을 막는다면 시리아 땅의 비극에 대해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은 지난 11개월동안 시리아 정부의 민간인 시위대에 대한 강경진압으로 5천400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한편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표결에 부쳐졌던) 안보리 결의안은 시리아의 반정부 무장세력에 대해서는 별다른 요구사항이 없었다”면서 “이는 시리아 정치 세력간 대화의 결과물을 오도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대표도 “현안에 대해 심각한 이견이 있는 상황에서 표결을 밀어붙이는 것은 안보리의 권위를 유지하고 사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시리아 사태에 대해서는 더 많은 협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