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대신 ‘시베츠’?

브릭스 대신 ‘시베츠’?

입력 2011-09-20 00:00
업데이트 2011-09-20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WSJ “젊은 인력 풍부… 투자 유망”

브릭스(BRICs)에 이어 일명 시베츠(CIVETS)그룹이 세계 경제의 다크호스로 빠르게 떠오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월스트리트저널은 19일 투자자들이 브릭스에서 눈을 돌려 시베츠를 새로운 유망 투자 대상으로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브릭스가 1990년대말부터 신흥 경제 대국으로 떠오른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 4개국의 줄임말인 것처럼 시베츠는 콜롬비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이집트,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6개 국가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다.

시베츠 국가들은 평균 연령 27세의 젊고 풍부한 인력을 갖추고 있어 빠른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내수 시장이 급성장할 여지가 커서 브릭스처럼 수출에 크게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 등이 투자 매력으로 꼽힌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HSBC 글로벌 에셋 매니지먼트는 지난 5월 처음으로 시베츠를 겨냥한 펀드를 출시했다.

그러나 시베츠를 브릭스와 같은 선상에 놓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시베츠 국가들은 젊은 인구가 많다는 점 외에 공통분모가 거의 없어 하나의 그룹으로 묶기에 적당하지 않으며, 더욱이 이집트 처럼 정치적 위험 요소와 유동성 불안이 혼재한 나라도 있어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다리우스 맥더모트 첼시파이낸셜서비스 대표는 “브릭스 4개국은 최소한 신흥대국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이집트와 베트남은 어떤 공통점이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시베츠는 눈속임에 불과하다.”고 혹평했다.

세계 4위 인구 대국인 인도네시아는 거대한 내수 시장 덕분에 글로벌 금융위기를 버텨냈고, 지난해 신용 등급도 투자 수준 바로 밑까지 한 단계 뛰었지만 부패가 문제로 꼽힌다. 베트남은 지난 20년간 전 세계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에 속하지만 공산주의 체제의 한계로 외국인 투자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때문에 일각에선 시베츠의 철자를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베트남을 포함시킨 것 아니냐는 비아냥도 나온다.

이집트는 시민 혁명의 여파로 경제성장이 주춤했지만 정치가 안정을 회복하면 제 궤도로 복귀할 것으로 보이며, 터키와 남아공 역시 지역적 이점과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1-09-20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