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보다 안정적인 기축통화 만들어야”

브릭스 “보다 안정적인 기축통화 만들어야”

입력 2011-04-15 00:00
업데이트 2011-04-1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싼야서 개최 ‘제3차 정상회의’

“보다 안정적이고 기초가 광범위한 국제 기축통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브릭스’(BRICS)로 불리는 5개 신흥공업국 정상들이 달러 중심의 현 기축통화 시스템에 반기를 들고 사실상 ‘화폐전쟁’을 선포했다.
이미지 확대


이와 함께 리비아에 대한 서방국가들의 군사 개입에 반대한다고 국제정치 영역에서도 한목소리를 내며 미국 등 서방 세계의 행보에 제동을 걸었다.

중국, 러시아, 인도, 브라질, 남아공 등 5개국 정상들은 이날 중국 하이난다오(海南島)의 싼야(三亞)에서 열린 제3차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32개 항목의 ‘싼야선언’을 채택했다. 이들 국가는 전 세계 면적의 30%, 전 세계 인구의 42%,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8%를 차지한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화폐를 기축통화로 새로 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지만 국제금융 시스템 개혁 등에서 G20의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정상들은 싼야선언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는 현재의 국제통화 및 금융 시스템의 부적절성과 결함을 노출시켰다.”면서 “국제 금융기구는 세계 경제의 변화를 반영해 개도국들의 대표권을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은 “지도자의 선택 문제를 포함해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등 금융기구를 개혁해야 한다.”고 구체적으로 지적하며 미국과 유럽이 독식해온 세계 금융기구 수장 자리를 개도국들에 나눠 줘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올가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은 개발도상국을 대표하는 브릭스와 선진국을 대표하는 주요 7개국(G7) 간 주도권 싸움으로 갈등이 한층 더 심화되게 됐다.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만모한 싱 인도 총리, 제이컵 주마 남아공 대통령 등 5개국 정상들은 “중동과 서아프리카 정세에 대해 우려를 표시한다.”면서 “우리는 모두 무력 사용 배제 원칙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정상들이 리비아 사태에 서방국가들의 군사개입에 반대한다고 한목소리를 낸 것은 미국, 영국 등 서방국가들의 ‘대항마’ 역할을 하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브릭스 정상회의는 2009년 6월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처음 열린 뒤 지난해 4월에는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2차 회의가 개최됐다. 지난해 말 남아공이 회원국으로 정식 가입함으로써 브릭스는 5개국으로 확대됐다. 내년 정상회의는 인도에서 열린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4-15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