伊 “반군 무장화를” vs 獨 “외교로 풀어야”

伊 “반군 무장화를” vs 獨 “외교로 풀어야”

입력 2011-04-14 00:00
업데이트 2011-04-14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리비아전을 둘러싼 서방국가 간 불협화음이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민간인 보호와 카다피 퇴진이라는 목표 가운데 무엇 하나 속시원히 풀리지 않자 각국이 ‘군사적 해법’과 ‘외교적 해결책’ 사이에서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영국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서방 주요국과 일부 중동국가, 유엔 등 국제기구 대표들은 13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에서 ‘연락 그룹’ 회의를 열고 리비아 사태의 출구전략을 모색했으나 큰 견해 차이를 드러냈다.

이탈리아 외무부의 마우리치오 마사리 대변인은 이 자리에서 “유엔 결의는 (반군의) 무장화를 금지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반군 측에 모든 가능한 방어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카타르도 반군의 무장화에 찬성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반면 독일과 나토는 리비아 사태를 정치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독일의 귀도 베스터벨레 외무장관은 카다피가 물러나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우리는 (리비아 사태를) 군사적으로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힌 뒤 “독일은 리비아인들을 인도적으로 지원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나토의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사무총장도 “우리는 이번 회의에서 리비아 사태를 푸는 정치적 해법을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군사적 해결 방안은 없는 게 명백하기 때문에 정치적 절차를 가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프랑스 정부는 앞서 12일 나토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면서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의 친위대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는 등 효율적인 군사적 압력을 가해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알랭 쥐페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날 ‘프랑스인포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아직도 카다피군이 미스라타에 폭격을 하고 있는데 이는 용인할 수 없는 일”이라며 “(나토의 작전이) 아직 충분치 않다.”고 비판했다.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도 나토군이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나토는 이에 대해 즉각 반박했다. 마크 토너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우리는 나토가 리비아전을 능력 이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실제로 그들은 성공적으로 작전을 이행하고 있다.”면서 자부심을 표출했다. 나토도 지난달 31일 지휘권 이양 이후 공습 속도는 줄어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정서린·유대근기자 rin@seoul.co.kr
2011-04-14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