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탈북자들, ‘北 식량사정 심각’ 증언”

WSJ “탈북자들, ‘北 식량사정 심각’ 증언”

입력 2011-04-10 00:00
업데이트 2011-04-10 0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의 식량사정이 점차 악화돼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조사 결과가 한국의 민간단체로부터 나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 보도했다.

WSJ은 북한민주화네트워크가 탈북자 500명을 상대로 인터뷰한 내용을 인용, 응답자의 90% 이상이 북한의 식량 사정은 매우 심각하거나 비교적 심각한 수준이며 2004년 이후 상황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인터뷰를 한 탈북자의 60%는 작년과 올해 북한에서 탈출한 사람들로 대다수는 식량사정이 특히 안 좋은 것으로 알려진 북동부 지역에서 거주했다.

탈북자들은 또 부족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 암시장에서 식량을 구입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배급하는 식량에 의존했다는 사람은 5%에 불과했다.

응답자 가운데 20%는 외부에서 주는 식량원조를 한번 이상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지만 이들 가운데 27%는 이렇게 받은 식량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당국에 반납해야 했다고 답했다.

이 조사는 북한의 식량배급 시스템이 사실상 붕괴됐으며 극빈자 일부에게만 식량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여타 연구를 뒷받침해준다고 WSJ은 평가했다.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따라서 ‘현명한 원조’, 즉 북한당국이 전용하기 힘든 약품이나 분유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국 정부가 북한에 대한 물자지원 규정을 완화한 이후 민간단체들은 이런 타깃 원조를 하고 있다.

지난주 한국 정부는 원조단체들이 북한에 결핵약을 보낼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분유와 빵, 사탕 등도 보낼 수 있도록 승인했다.

하지만 북한에 대량으로 식량을 보내는 문제는 아직 명확하게 결론나지 않았다.

최근 한국 국방부가 시행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가운데 70%는 지난해 벌어진 연평도 포격사건과 천안함 폭침 사건에 대해 북한이 사과를 하지 않는 한 대북 식량원조를 반대한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